“權여사, 신정아씨 면담한 적 없다”

  • 입력 2007년 9월 19일 03시 16분


어린이 안전 자문위원과 오찬노무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가운데)가 18일 어린이 안전점검기획단 자문위원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행사를 열고 있다. 뒤편에는 2005년 노 대통령 지시로 1억5000만 원을 주고 구입한 전혁림 화백의 ‘통영항’이 걸려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어린이 안전 자문위원과 오찬
노무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가운데)가 18일 어린이 안전점검기획단 자문위원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행사를 열고 있다. 뒤편에는 2005년 노 대통령 지시로 1억5000만 원을 주고 구입한 전혁림 화백의 ‘통영항’이 걸려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윗선, 어느 분 지칭하는지 다 알아

權여사, 신정아씨 면담한 적 없다”

■ 靑, 권여사 첫 거명

한나라당이 18일 변양균 전 대통령정책실장의 신정아 씨 비호 의혹과 관련해 ‘윗선’의 개입 의혹을 제기하면서 청와대에 신 씨의 출입기록을 거듭 요구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윗선’ 개입도 없고, 개인 신상이 담긴 자료를 내줄 이유도 없다”며 거절했다.

한나라당이 “신 씨가 청와대를 고작 2번만 출입했다고 했지만 청와대가 근거를 내놓지 않고 있어 신뢰할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하자 청와대는 항간에서 화제가 되는 ‘윗선’에 대해 권양숙 여사를 거론하는 정공법으로 맞받았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신 씨가 청와대에 출입한 것이 2번 이상이 될 것이란 의혹이 자꾸 제기된다’고 묻자 “얘기를 돌아가지 말자. 한나라당이 ‘윗선’이라고 얘기하는데 어느 분을 지칭하는지 누구나 알 수 있다”며 “권양숙 여사는 신 씨를 면담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윗선’ 의혹과 관련해 스스로 권 여사를 지칭한 것은 처음으로 권 여사 관련설에 대해 정면돌파 방침을 세운 것으로 해석된다.

천 대변인은 “권 여사를 접견하거나 오찬으로 만나는 사람은 면회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경호실을 거쳐 제2부속실로 오게 되지만 제2부속실 자료에는 신 씨가 들어온 기록이 없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다만 여성가족부 등 부처에서 주관해서 진행되는 수십 명, 수백 명이 참석하는 청와대 행사의 경우 주민등록상 전과만 없으면 청와대에 들어올 수 있다”며 “그런 때 신 씨가 들어왔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않고 지난 4년 반 동안의 행사를 점검 중인데 그렇게 해서 들어온 경우도 없으며 설사 그런 경우가 있더라도 그것은 대통령 내외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일정”이라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만약의 경우에 대비한 듯 ‘설사 그런 경우가 있더라도…‘라고 신 씨의 청와대 추가 방문 가능성을 열어둔 뒤 “살펴보고 무엇이 나오면 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면회실 출입기록은 경호실 내부규정에 따라 2년치를 보관하며, 2006년 1월 1일부터는 전산화돼 있다. 대통령민정수석실은 변 전 실장이 임명된 2006년 7월 이후 면회실 출입기록을 살펴 신 씨가 2차례 청와대를 방문한 사실을 확인했다.

면회실이 아닌 경호실과 제2부속실을 거치는 경우에도 출입기록은 남아 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참여정부는 기록을 중요시한다”며 “한 번에 100명 이상이 초청된 행사도 다 들여다봤지만 아직까지 신 씨의 방문기록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설명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은 ‘윗선’의 실체를 파악하려면 신 씨의 청와대 출입기록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는 태도를 굽히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은 신 씨 사건을 권력형 비리인 ‘게이트’로 규정하고, 변 전 실장의 신 씨 비호 의혹을 정권 핵심세력이 신 씨에게 농락당한 ‘국정 농단사건’으로 보고 있다.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심재철 원내수석부대표는 11일 청와대에 신 씨의 출입기록을 요청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개인의 신상이 노출되는 자료이기 때문에 당사자 허락을 얻어야 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는 답변서를 보냈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는 과거 정권 때부터 개인의 신상이 노출되는 자료를 공개한 전례가 한 번도 없다”고 말했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