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청와대는 이 같은 보도들에 대해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NCND전략’을 펴며 “평화체제를 정착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견해만 밝히고 있다.
▽평화프로젝트 제안=한국일보 28일자 가판은 ‘신의주 특구 공동개발 제안한다’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서울신문 28일자 가판은 ‘서해 NLL 평화수역 제의 검토’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이 신문은 또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은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DMZ를 ‘평화지대(Peace-Zone)’로 바꾸도록 제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국민일보 28일자 가판 1면 머리기사는 ‘남북 정상회담서 경협-긴장완화 맞교환, 평화 프로젝트 제안한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한 남북한 경제공동체 구성을 위해 해주와 남포, 신의주 등에 개성공단 방식의 ‘제2경제특구’ 개발도 북측에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제2의 개성공단이나 특구 건설 방안을 단순한 대북 투자 등 경제적 측면보다는 육지와 바다를 잇는 휴전선 라인을 ‘평화벨트’로 엮는 방안과 연계해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강 하구 공동 이용, 서해 공동 어로, 임진강 수해 방지 등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경제협력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전해졌다.
백종천 대통령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27일 브리핑에서 “남북 경제 분야에서 공동체를 지향한다고 하면 현재의 경협이 더 활성화돼야 하고 경제공동체로 가는 중간 단계에서 몇 개의 개성공단 같은 것을 상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청와대=청와대는 정부 고위 관계자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한 여러 언론의 정상회담 의제 관련 보도에 대해 진위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대에게 구체적으로 제안하기 전에 밝히고 홍보하는 일은 없다. 몇 가지 아이디어가 검토되지만 깜짝쇼는 없다. 구체적 의제는 확정되지 않았다”고만 말했다.
종전에 민감한 언론 보도에 대해 즉각 반박하거나 비판했던 것과는 판이한 태도다.
일각에서는 정상회담이 채 일주일도 안 남았는데도 국민이 관심을 보이지 않자 정부가 검토 중인 의제들을 언론에 흘려 관심을 끌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청와대가 ‘신정아, 정윤재 게이트’ 등으로 남북 정상회담이 국민의 관심에서 멀어지자 갖가지 이벤트성 의제를 여기저기 남발하고 있다”며 “정부는 실질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의제를 충실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길진균 기자 le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