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盧도… 非盧도… “또 盧? 오 NO!”

  • 입력 2007년 9월 28일 03시 06분


‘盧대통령 퇴임후 정치 시사’ 논란

《노무현(사진) 대통령이 7월 말 김성호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하라고 요청하는 등 ‘퇴임 후 정치 구상’의 일단이 드러나면서, 노 대통령의 향후 행보를 놓고 정치권에서 여러 관측과 논란이 일고 있다. 정파를 불문하고 일단 비판론이 우세하다. 동시에 정치권의 관심이 대선 못지않게 의원직 유지를 결정할 총선에 쏠려 있는 만큼, 내년 18대 총선을 겨냥한 노 대통령 구상이 ‘노무현 신당’ 출현으로 연결될 경우 정국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한나라당, “돈키호테식 발상 버려라”

한나라당은 “참여정부 5년도 국민에게 참으로 답답하고 길게 느껴졌다”며 노 대통령의 자중을 촉구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에서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돈키호테식 발상”이라며 “노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으로 남으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이 지역구인 김정훈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도 “영남권에서는 노 대통령이 내년 총선에서 현 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인사를 대거 출마시켜 최소 1, 2석의 지역구를 차지해 ‘노무현 신당’으로 원내 진입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장일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이명박 대선후보와 경쟁하는 ‘도로 열린우리당’ 경선 후보들보다 노 대통령과 청와대가 더 심하게 (이 후보 비판에) 총대를 메는 것은 정권 교체가 되면 국정파탄에 대한 책임 추궁이 두렵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통합민주신당, “부작용 심할 것”

대통합민주신당 내에서도 노 대통령의 ‘퇴임 후 구상’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많다.

대통합민주신당의 한 친노(親盧·친노무현 대통령) 인사는 “노 대통령은 정권이 바뀌면 자신이 5년 동안 한 일이 모두 물거품이 될 것으로 걱정하고 있다”며 “노 대통령의 성향상 퇴임 후에도 정치와 거리를 두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캠프의 한 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퇴임 후 자연인으로서 어떤 선택을 하든 자유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에 직접 개입하는 게 가능할 것 같지 않다”며 “전직 대통령이 총선에 출마하는 등 직접 정치에 뛰어든다면 정치 질서가 어지러워지는 등 부작용이 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캠프에서는 노 대통령의 퇴임 후 정치 구상 자체가 문제라는 비판론이 많다. 손 전 지사 캠프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민생경제 활성화, 남북 평화 정착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남겨 두고 있는 노 대통령이 그런 일에 신경 쓸 겨를이 어디 있느냐”고 쏘아 붙였다.

친노 주자인 이해찬 전 국무총리 측에서도 실현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았다. 이 전 총리 캠프 관계자는 “노 대통령을 잘 아는 쪽에선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고 있다”며 “지금은 노 대통령이 현직이니까 힘이 있지만, 이번 대선에서 친노 진영이 무너지면 내년 총선의 구심점은 전혀 다른 방향에서 만들어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