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은 최소 규모로 구성하면서도 사상 최대 규모의 정책공약 개발팀을 짜 400명이 넘는 핵심 인력을 배치했다.
한나라당의 정책공약 개발을 전담할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관계자는 16일 “저쪽(범여권)은 네거티브(비방·폭로)로 승부를 보고 싶겠지만 우리는 정책공약 분야에다 싸움터를 만들 생각”이라며 “올해 대선은 정책대결로 끝장을 봐야 한다. 그게 국민이 원하는 선거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다음 달 15일 핵심 공약을 발표하기로 한 데 대해 검증 공세를 피하기 위한 지연전술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사상 최대 규모 정책공약 개발팀=이 후보는 8월 20일 대선후보로 선출된 뒤 27일 김형오 당시 원내대표를 일류국가비전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했다. 대선준비팀을 꾸리기도 전에 당의 정책공약 총괄조직부터 구상한 것. 위원회 이름도 이 후보가 직접 정했다. 비전위는 ‘알찬 공약 실천하는 이명박’이라는 슬로건 아래 활동 중이다.
비전위는 3개 소위원회, 15개 분과로 구성돼 있다. 통일·외교, 국방·안보, 경제, 복지, 교육, 여성·청소년, 환경, 노동, 문화·예술 등 각 분야는 물론 지역공약 개발 전담 분과도 운영 중이다. 국회의원 18명, 대학교수 300여 명을 비롯해 43명의 핵심 실무진이 이 위원회에 배치됐다.
김형오 위원장은 통화에서 “‘잘 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를 비전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공약을 실천 가능한 것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가 위원장을 맡은 경제살리기특위도 부동산 문제, 공공요금, 기업정책 등 서민 경제와 기업 관련 공약을 준비 중이다. 이 위원회에는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과 황영기 전 우리은행장이 부위원장으로 영입됐으며,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실무형 인사 20여 명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공약 마지막 성안 단계가 되면 이 후보가 관련자들과 4, 5시간씩 격론을 벌이며 문제점들을 조목조목 지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바람에 공약 개발 담당자들은 새벽 시간대까지 일에 매달리고 있다. 비전위 최현정 경제1팀장은 “연말까지는 ‘죽었다’고 생각하고 일에만 매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비전위는 이 후보의 ‘혹독한 검증’을 거친 핵심 공약 50여 개를 다음 달 15일 공약집 형태로 발간할 예정이다. 이어 대선 막판까지 지속적으로 정책공약을 발표해 정책대결 구도를 유지한다는 것이 이 후보의 전략. 한나라당은 26일부터 시작되는 시도당 필승결의대회에서도 지역별 맞춤 공약을 발표해 표심을 공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나라당이 공약 발표를 미루는 바람에 공약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시간이 부족해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