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TV토론, 외면하는 유권자들=‘말은 풀고 돈은 묶는다’는 취지에 따라 1997년 대선 때부터 도입된 대선 후보 TV토론은 시행 첫해에는 시청률 55.7%까지 기록하며 유권자를 ‘안방 정치마당’으로 불러 모았다. 하지만 2002년 대선 당시 시청률이 줄곧 한 자릿수대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 들어 개최된 각종 TV토론은 시청률이 4∼5%대에 머물고 있다.
MBC ‘100분 토론’의 경우 11일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토론회는 4.9%, 18일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토론회는 5.1%에 그쳤다. 지난달 13일 SBS의 이 후보 토론회는 4.1%였다. 또 당내 경선 토론회는 한나라당이 4.8∼6.1%였고 대통합민주신당은 3.7%를 넘지 못했다.
2002년의 경우 한나라당과 민주당 경선 토론회는 각각 7∼8% 선이었으며 11월 초에 열린 KBS의 후보 초청 토론회도 7∼9%로 올해보다 높았다.
반면 TV토론 횟수는 크게 늘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KBS 등 6개 지상파 TV가 1997년 15차례, 2002년 29차례 경선 및 대선 후보 토론회를 방영했으나 올해 대선에선 지금까지 12차례를 비롯해 40차례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늘어난 TV토론이 유권자들의 주목을 끌지 못함에 따라 TV토론을 지지율 만회의 결정적 무대로 기다려 온 범여권 후보들은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토론 기회 마련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정 후보가 21일 이 후보와의 ‘밤샘 TV토론’을 제안한 것도 이 같은 자리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이 후보의 유일한 ‘맞짱 상대’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키겠다는 계산에 따른 것이다.
▽기형적 선거구도, 백화점식 말잔치에 선거 관심 퇴조=이처럼 TV토론이 관심을 못 끄는 이유는 무엇보다 지지율 50%를 웃도는 이 후보와 나머지 후보들 간의 이례적인 비대칭 선거구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더욱이 11월 중순으로 예상되는 범여권 후보들 간의 단일화 성사 때까지는 이 후보와 정면승부를 할 범여권 대표 주자가 함께 참여하는 TV토론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달 말까지 각 방송사가 계획해 둔 TV토론은 주로 범여권의 개별 후보를 불러 놓고 진행하는 단독 토론이어서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각 당의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또한 방송사들도 시청률이 낮은 대선 후보 TV토론을 심야 시간대에 배치해 시청률을 더욱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선 후보의 TV토론이 관심을 끌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토론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이 갈수록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기도 한다. 실제 토론 프로그램은 한때 주말 오후 10시 무렵에 배치돼 10% 안팎의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현재는 모두 심야 시간대에 편성되고 시청률도 2∼3%대에 그치고 있다.
나아가 방송사 간 차별화된 중점 이슈를 중심으로 후보 간 차이를 부각하기보다는 백화점식 질문에 기계적으로 질문과 답변 시간을 똑같이 할당해 ‘재치문답식’ 토론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 각 당 후보들의 푸념이다.
오창우 계명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토론에 익숙지 않은 한국의 문화 속에서 서구의 토론 프로그램 형식만 따 왔기 때문에 토론의 형식과 내용이 모두 겉돌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새로운 선거문화에 맞는 토론 기법 개발해야=1997년 대선 후보 TV토론이 시작될 때와 비교해 보면 10년 사이에 인터넷과 휴대전화 등 후보자에 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각종 수단이 늘어나는 등 선거 환경이 급격히 변했다. 그런데도 TV토론의 내용과 형식은 10년 전 그대로라는 것이 근본적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앙대 장훈(정치외교학) 교수는 “TV토론 독점 시대가 깨지고 후보자의 외모에서 말투까지 과잉 노출이다 싶을 정도로 선거문화가 변화를 거듭했다”면서 “사회자나 토론자가 더 권위를 인정받고 진지하게 다뤄질 수 있도록 새로운 틀과 내용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KBS 김찬태 선거방송프로젝트팀장은 “방송사들이 비슷한 형식과 질문으로 후보 초청 토론회를 진행하다 보니 시청자들은 같은 얘기의 반복으로 느낄 수 있다”며 “방송사가 합의해 후보 토론을 정치 외교 남북문제 경제 사회 등 주제별로 나누거나 질문 형식을 바꾸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한 방송사 관계자는 “선관위 주관으로 후보자 합동토론을 할 경우 (지지율 5% 이상 또는 의석수 5석 이상 정당 소속인) 6명가량이 나와야 하므로 정상적 토론이 어렵다”며 “방송사 자율로 상위 1∼3위 후보만 초청하는 토론 방식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성원 기자 swpark@donga.com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