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측 “지지율 정체 책임 떠넘기기” 반박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노동당, 민주당, 창조한국당의 대선 후보가 25일 각각 후보 등록을 함에 따라 범여권은 일단 ‘각개약진’식 선거전을 치르게 됐다.
그러나 범여권에 여론조사 지지율이 20%를 넘는 후보가 없고, ‘분열=필패’라는 인식이 강해 어떤 식으로든 단일화 움직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민주당과의 합당 및 후보 단일화가 무산됐지만 여전히 민주당과의 연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 후보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무소속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와 3자 구도를 이루려면 여론조사 지지율 20%대가 필수적이다. 20%대 지지율을 얻으려면 호남지역 지지율이 70∼80%는 돼야 하는데 현재 50%가 안 된다.
대통합민주신당 핵심 관계자는 “정 후보가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처럼 ‘호남 유일의 후보’로 자리 매김하려면 민주당과의 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단일화 대상이지만 오히려 ‘정 후보 사퇴’를 주장하고 나선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선 후보 문제도 정 후보 측으로서는 숙제다.
정 후보 선거대책위원회는 그동안의 ‘러브콜’과는 달리 이날 논평을 내고 “문 후보는 이명박, 이회창 후보와 싸우기 위해 출마했는지, 민주개혁세력을 분열시켜 한나라당을 이롭게 하기 위해 출마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공격했다.
이날 논평은 문 후보가 독자 노선을 계속 고수할 경우 ‘민주개혁세력 분열 후보’로 규정지어 고사시키겠다는 사전 포석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문 후보 측은 “정 후보가 지지율 정체에 따른 초조함 때문에 분열론을 제기해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확실히 검증된 것은 집권 여당과 그 후보의 무능력임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합당 무산으로 대통합민주신당에 대한 감정이 악화된 민주당도 내년 총선을 고려할 때 마냥 독자 행보만 고집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각각 후보를 내면 표가 갈라져 한나라당 또는 무소속 후보가 유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창조한국당 내부는 조금 복잡하다. 문 후보는 대선을 독자적으로 치른 뒤 이 득표율을 토대로 내년 총선에 임한다는 생각이지만 일부 참모는 “선거연합 또는 세력연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