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은 열었지만… ‘마찰음’ 클듯

  • 입력 2007년 12월 5일 03시 02분


기념식장서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오른쪽),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선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수상 7주년 기념식에 나란히 참석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종승 기자
기념식장서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오른쪽),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선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수상 7주년 기념식에 나란히 참석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종승 기자
청와대 앞에서민주노동당 권영길 대선 후보가 4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 청와대 진입로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 앞에서
민주노동당 권영길 대선 후보가 4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 청와대 진입로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재래시장에서민주당 이인제 대선 후보가 4일 대전 유성시장에서 열린 ‘전통 5일장’을 찾아 상인들과 악수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재래시장에서
민주당 이인제 대선 후보가 4일 대전 유성시장에서 열린 ‘전통 5일장’을 찾아 상인들과 악수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문국현 “16일까지 단일화” 정동영에 공식토론 제안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선 후보가 4일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대선 후보에게 ‘16일까지 후보 단일화 성사’를 전격적으로 제안함에 따라 그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 후보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6일까지 후보 단일화 △후보자 평가를 위한 공개토론회 개최 △시민사회 원로들이 토론회 방식 및 단일화 기준 마련 등 3개 조건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는 이날 전남 나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문 후보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 (단일화는) 가능한 한 빨리 해야 한다”며 “형식과 절차 내용에 구애됨이 없이 대화하자는 견해다”라고 수용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실제 단일화가 이뤄지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비록 범여권의 거센 요구에 떠밀려 단일화 제안을 했지만 ‘단일 후보는 내가 돼야 한다’는 문 후보의 생각은 여전히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공개토론회가 열릴 경우 문 후보는 정 후보를 상대로 ‘부패한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가 지지율 1위가 될 수 있도록 만든 책임’에 대해 거센 공격을 펼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4일 기자회견에서 “(정 후보가) 무엇을 반성하고 책임져야 하는지 알려 주겠다”며 뼈 있는 한 마디를 던졌다.

정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대승적 차원에서 (문 후보) 제안을 받았지만 실익이 무엇인지 의문”이라며 “잘못하면 단일화로 인한 지지율 상승보다 국민 앞에 (정 후보가) 국정 실패 세력으로 낙인 찍힐 우려도 크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이 제시할 토론회 방식과 단일화 기준 등이 양측 실무진 협상을 거치면서 쉽게 받아들여질지도 미지수다.

정 후보 측 김현미 공동대변인은 “토론방식 등은 당에서 충분히 논의한 뒤 추후 밝히겠다”며 말을 아꼈다.

정 후보 측은 단일화 시기에 대해 “빨리 해야 한다”는 태도이지만 문 후보 측 김갑수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빨리 하면 좋다는 것은 허울 좋은 말장난이다. 단일화 과정이 희망의 대장정이 되려면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일 단일화가 부재자 투표일인 13, 14일 이후 이뤄질 경우 한쪽 표가 사표가 됨으로써 단일화 효과도 반감될 수밖에 없다.

‘국민 후보’라고 자칭하던 문 후보와 공당(公黨)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후보가 오로지 대선 승리만을 위해 정치공학적으로 합치는 것이 정당정치 원리에 맞느냐는 비판 여론도 부담이다.

대통합민주신당의 한 관계자는 “정당은 최선을 다해 후보를 내고, 그 후보를 통해 국민의 심판을 받는 것이 정당정치의 근본”이라며 “자칭 국민 경선까지 치르고도 부족해 이합집산을 거듭하고 또 그 선택을 국민이 아닌 특정 집단에 맡긴다면 왜 정당이 존재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정동영 문국현 두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 2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7주년 기념행사장에서 잠시 만났다.

이 자리에서 김 전 대통령이 “둘(정 후보와 문 후보)이 앉으니 보기 좋소”라고 말하자 정 후보는 “대통령 덕분에 이렇게 자리가 됐다. 걱정 안 끼치도록 협력해서 노력하겠다”며 단일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간접적으로 밝혔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 동영상 촬영 : 이종승 기자


▲ 영상:신세기 동아닷컴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