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수사결과가 발표됐는데도 정치권에서는 적극적으로 `수사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 검찰은 메모 내용을 `심각한 명예훼손 사안'으로 보고 작성 경위를 조사하는 등 `쪽지 하나'가 불러온 후폭풍이 거세기 때문이다.
`검찰이 이 후보에게 유리한 진술을 하면 형량을 3년으로 맞춰주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7~10년이 될 것이라고 회유했다'는 내용 등을 담은 이 메모는 김씨의 누나 에리카 김이 이달 초 미국에서 공개했다.
김씨 측은 이 메모가 지난달 23일 김씨가 서울중앙지검 조사 대기실에서 장모와 면회하면서 직접 적어 건네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김씨측이 주장한 메모 작성 시점부터 의문을 갖고 있다.
지난달 23일은 수사팀이 국내에 입국한 김씨의 모친으로부터 진위 논란을 빚었던 `한글 이면계약서 원본'을 전달받은 날로 수사 초기에 해당된다.
수사가 비로소 본격화되는 마당에 검사가 벌써부터 피의자에게 구형량 등을 언급할 시점이 아니라는 것이다.
검찰은 검찰청사 내 대기실에서 메모가 작성됐다는 점도 그대로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족 면회 때는 교도관이 입회를 하는데, 김씨가 장모와 모친을 만났던 당시 대기실에 있었던 교도관은 "내가 입회한 가운데 그런 메모가 작성될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런 점에 비춰 언론에 공개된 메모를 11월23일보다 늦은 시점에 에리카 김 등 김씨의 가족이 미국에서 작성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씨가 미리부터 시나리오를 짜고 메모를 작성해 놓았다가 교도관 몰래 면회 온 가족에게 건넸을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김씨의 장모와 모친 등과 교도관 등을 불러 메모 작성과 관련된 부분을 조사하는 한편 김씨의 진술조서 등도 살펴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김씨가 검찰에서 미국에 있는 누나 에리카 김과 통화를 할 때 영어를 썼고 접견교통권을 충분히 보장하고 있는데 교도관 몰래 굳이 쓰기 어렵다는 한글로 메모를 썼다는 점은 납득이 안 된다"며 메모에 대한 의심을 감추지 않았다.
디지털뉴스팀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