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어떻게든 검찰수사는 피하자?

  • 입력 2008년 1월 18일 03시 00분


“金원장 방북 대선공작설 제기

국가기강 문란케 하는 행위”

‘평양 대화록’ 유출 책임을 인정하고 사의를 표명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의 사표가 당분간 처리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천호선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 겸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김 원장의 발언록 유출 행위는 부적절했지만 터무니없는 중상모략에 대한 대응으로부터 시작됐고, 지금도 모략이 계속되고 있다”며 “유출한 발언록의 내용을 국가 기밀로 단정하고 사표 수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더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원장의 ‘행태’를 이해한다는 듯한 뉘앙스다.

청와대는 이번 사건을 차기 정권과의 자존심을 건 대결로 보는 듯하다.

청와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한나라당이 김 원장의 대선 전날 방북에 대해 ‘북풍(北風) 공작’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화록 유출을 이유로 김 원장의 사표를 즉각 수리할 경우 ‘굴복’하는 모양새가 된다는 점을 못마땅해하는 분위기다.

김 원장의 사표 수리가 사건을 일단락시키기는커녕 오히려 남북 정상회담 자체를 포함한 노무현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대한 공세를 낳는 자충수가 될 것이란 판단도 깔려 있다.

검찰 수사가 시작되고 수사 과정에서 김 원장의 방북을 둘러싼 미심쩍은 정황이 포착되면 사건의 성격이 완전히 뒤바뀔 가능성도 염두에 둔 듯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원장이 남북 정상회담 일정 협상과정에서 북한에 ‘대가’를 지불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천 대변인은 “대선을 하루 앞두고 선거에 영향을 주는 공작을 협의하러 간다는, 상식에서 벗어난 의혹을 제기하고 근거 없이 정상회담 대가 제공설을 제기하는 것이야말로 국가 기강을 문란케 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청와대가 거듭 “김 원장이 유출한 발언록이 국가 기밀이냐 아니냐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린다”며 검찰을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것은 어떻게든 검찰 수사를 피하기 위한 것이란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 사안은 국기 문란 행위로 유야무야 넘어가서는 안 된다. 청와대는 국민 여론을 직시하기를 바란다”면서 “법적 절차에 따라 처리(사표수리)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영상취재 : 동아일보 박경모기자


▲동영상제공=인수위,편집 : 동아일보 사진부 이종승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