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잡아야 전국을 쥔다” 최대승부처 총력전

  • 입력 2008년 2월 1일 03시 10분




예비후보 1475명 등록… 본보 집계 출마준비자 2409명

《동아일보가 4월 9일 치러지는 제18대 총선의 전국 243개 지역구 출마 희망자를 31일 집계한 결과 2409명이 출마를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구당 평균경쟁률은 9.9 대 1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예비 후보로 등록한 사람을 비롯해 각 정당이 파악하고 있는 출마 예상자 명단을 종합한 수치다.

이 가운데 31일 오후 6시 반 현재 선관위 등록 예비 후보는 1475명이다. 예비 후보들의 평균경쟁률은 6.1 대 1인 셈이다. 아직까지 출마 지역구를 정하지 못하고 몇 곳을 저울질하고 있는 사람도 적지 않아 경쟁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선관위 등록 예비 후보 기준으로 정당별 출마 희망자는 한나라당 761명, 대통합민주신당 265명, 민주노동당 98명, 민주당 85명, 기타 266명이다. 이 가운데 남자는 1395명, 여자는 80명이다.

대도시별 경쟁률은 △서울 7.1 대 1 △부산 3.1 대 1 △대구 4.3 대 1 △인천 6.7 대 1 △광주 7.6 대 1 △대전 9.3 대 1 △울산 3.0 대 1이다.

50대가 559명으로 가장 많고 40대 551명, 60대 243명, 30대 100명, 30세 미만과 70세 이상이 각각 6명, 16명이다.

한나라당은 1∼5일 공천 희망자를 공모한 뒤 공천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3월 초순까지 공천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대통합민주신당은 아직 구체적인 공천 일정을 확정하지 않았다.》

지역구 243곳 중 109곳이 수도권

“수도권을 잡아라.”

18대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은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도권에서 웃는 정당이 전국을 평정했다는 것은 역대 총선 결과가 말해 주는 불문율이다. 지역구 243곳 중 109석이 수도권에 몰려 있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의 전신)이 수도권 109석 중 76석을 쓸어 가면서 한나라당(수도권 33석)을 제치고 원내 제1당으로 올라섰다.

당시 한나라당은 비(非)수도권에서는 열린우리당보다 14석을 더 얻었으나 수도권 참패를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8대 총선을 앞두고는 “4년 만에 강산이 변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나라당에선 지난해 대통령선거 압승에다 새 정부 출범 초기의 프리미엄까지 겹쳐 벌써부터 ‘공천=당선’이란 인식이 팽배하다.

한나라당의 지난 대선 득표율을 18대 총선 선거구에 대입하면 수도권 109곳에서 모두 이기는 것으로 나올 정도다. 이를 반영하듯 전통적으로 호남에 기반을 둔 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서울 북부와 서남부, 경기 남부지역에도 한나라당 예비 후보들이 공천을 받기 위해 줄을 잇고 있다.

이번 총선의 화두는 ‘한나라당이 수도권을 싹쓸이할 것이냐’로 모아진다.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이 개헌 가능선인 200석을 넘기는 것 아니냐” “어쨌거나 과반 의석은 무난할 것”이라는 말도 들린다.

그러나 수도권 민심의 특성상 어느 한쪽이 독주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선과는 달리 각 지역구에서 발로 뛰는 후보들의 ‘인물’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04년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당초 ‘탄핵 역풍’으로 수도권에서 거의 궤멸 직전까지 몰렸으나 막판 ‘인물론’과 ‘거대 여당 견제론’이 먹혀 들면서 득표율에서는 거의 대등한 게임을 벌였다.

한나라-신당 4년 전과 입장 바뀌어

대통합민주신당에서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전 대선 후보가 수도권에 출마해 ‘쌍끌이 바람’을 일으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당내에서 힘을 얻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새 정부 입각 1순위이던 전재희(경기 광명을) 최고위원을 총선 출마로 U턴시켰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젊은 측근 중 상당수도 수도권에 출사표를 던졌다.

대선의 기세를 총선까지 이어 가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양당의 총선 전략도 4년 전과는 정반대로 바뀔 듯하다.

17대 총선 당시 열린우리당이 ‘탄핵 심판론’을 외쳤던 것처럼 이번에는 한나라당이 ‘10년 정권 심판론’을 들고 나올 태세다. 대통합민주신당은 노무현 정권의 실정(失政)에 대해 머리를 숙이며 “그래도 국정을 견제할 강한 야당이 필요하다”는 ‘견제론’과 ‘인물론’에 의지한다는 전략이다.

각 지역구 ‘인물’이 막판 중요변수 될 듯

창당 8년 만에 대전환점을 맞은 민주노동당은 심상정 노회찬 의원이 경기 고양 덕양갑과 서울 노원병에 각각 출마해 수도권에 첫 지역구 깃발을 꽂겠다는 각오다.

생존 위기에 몰린 민주당은 대통합민주신당과의 합당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윤종구 기자 jkma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