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부의장-안상수 대표 수차례 만나 중재안 논의
姜대표, 공감 표시… 朴 前 대표측 “일단 지켜보겠다”
한나라당이 공천 갈등을 풀 수 있는 해법을 찾았다.
당 최고위원회는 1일 부정부패 연루자의 공천 신청 자격을 박탈하도록 규정한 공직후보자 추천규정 3조 2항을 금고형 이상을 선고받은 사람에게만 적용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공천심사위원회가 최고위원회의 결정을 수용하더라도 공천 탈락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선거 과정에서 이슈가 될 수 있어 불씨는 남을 것으로 보인다.
○ “벌금형은 공천 신청 자격 유지”
강재섭 대표가 전날 기자회견에서 당초 약속과 달리 공심위에서 ‘원칙대로 당규를 적용하자’는 주장을 폈다는 이유로 이방호 사무총장의 사퇴를 요구했고, 이 사무총장은 “당규대로 하자는 게 뭐가 문제냐. 절대 사퇴할 수 없다”고 맞서 당내 공천 갈등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그러나 파국을 막기 위해 노력해 온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벌금형을 선고받은 경우 공천 신청 자격을 주는 방안’으로 중재에 나섰다. 최고위원회는 2일 오전 긴급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의결해 공심위에 공천 심사 기준으로 제시하기로 뜻을 모았다.
강 대표는 안 원내대표의 중재안에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무총장은 통화에서 “최고위원회 결정에 따라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공심위는 전날 ‘벌금형을 선고받은 경우는 공천 신청 자격 박탈의 예외로 해 달라’는 최고위원회의 요청에 대해 ‘원칙적인 당규 적용’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최고의결기구인 최고위원회가 공식 의결할 경우 공심위도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이 당내 해석이다.
안 원내대표는 통화에서 “최고위원회가 공천 기준을 결정해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심위에서 받겠다, 말겠다 할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천 파동 수습책을 마련하는 데는 이 당선인의 친형인 이상득 국회 부의장이 막후에서 많은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의장은 이날 안 원내대표와 수차례 만나 중재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안강민 공심위원장과도 통화해 원만한 해결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원칙적인 당규 적용’을 주장해 온 이 당선인 측근들의 강경 기류를 누그러뜨리는 데도 일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 박근혜 전 대표 측 분위기 누그러져
최고위원회에서 중재안을 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박 전 대표 측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졌다.
당초 박 전 대표 측 의원 29명과 원외 당협위원장 42명 등 71명은 이날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모여 “선거법 위반자도 부정부패에 연루된 것이기 때문에 공천 신청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선거법 위반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은 이재오 정두언 의원 등 이명박 당선인 측 의원 10여 명의 공천 자격이 박탈된다.
중재안 소식이 전해진 뒤 유승민 의원은 통화에서 “최고위원회 회의 상황을 지켜본 뒤 4일로 예정된 박 전 대표 측 의원과 당협위원장 모임에서 다시 의견을 모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무성 최고위원은 통화에서 “신중하게 생각해 보겠다”면서도 “공천 신청을 받아 놓고 떨어뜨릴 수도 있는 것 아니냐. 지금은 서로의 신뢰 회복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측 한 의원은 “이 당선인 측에서 당을 살리고 정권 교체에 기여한 김 최고위원의 공을 인정하고 신뢰를 준다면 이번 파문은 여기서 마무리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