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당선인 “오늘 손학규 대표 만나 설득”
정부 조직 개편 협상의 돌파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으면서, 취임을 11일 앞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최종 선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당선인은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로부터 협상 상황을 보고받으면서 “(일부 부처 존치 요구는)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힌 뒤 박재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내정자를 통해 14일 손학규 대표를 만나 논의하겠다는 뜻을 손 대표 측에 전했다.
이에 대해 대통합민주신당 우상호 대변인은 “손 대표가 ‘12일 이 당선인과의 통화에서 협의한 대로 실무적 협의를 진전시킨 후에 만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면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손 대표는 14일 오전 예정대로 대구 성서공단 내 중소기업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 당선인 주변에서는 “계속 대통합민주신당의 의견을 수용하면 조직 개편의 이유가 없다” “이러다간 ‘도로 큰 정부’가 된다”며 협상 타결 가능성을 낮게 보는 기류가 급속히 형성되고 있다. 13일 오후 현재까지는 특정 장관을 명시하지 않은 채 정부 조직 개편안에 맞춰 국무위원 15명을 발표하고 국회에 인사 청문 요청서를 발송한다는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라고 명기하지 않은 채 그냥 국무위원 후보자라고 적어 발표하고 국회에 인사 청문을 요청하겠다는 것.
장관 직을 명시하지 않더라도 한나라당이 국회 상임위원회별 인사청문회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국무위원과 장관 간의 ‘조합’은 대부분 확인돼 국민의 혼란은 피할 수 있다는 것. 대통합민주신당이 새 국무위원들에 대한 인사청문을 거부하더라도 관련 법상 요청한 지 20일 내 청문을 마치도록 되어 있어, 그 후에는 청문회 개최 여부와 상관없이 국무위원 후보의 자격을 갖출 수도 있다.
그러나 대통합민주신당이 이 당선인의 조각 발표를 ‘조직 개편안 밀어붙이기’로 규정하고, 한승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준동의안 처리를 지연하거나 반대한다면 사정은 더 꼬일 수도 있다는 게 당선인 측의 고민이다. 장관 제청권은 총리 후보자가 아니라 인준동의안을 통과한 ‘총리’가 가지고 있어 동의안 처리가 지연되는 만큼 새 내각 구성 시기가 늦어지기 때문이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