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사건’ 어떻게 증폭됐나

  • 입력 2008년 2월 22일 02시 56분


BBK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 씨가 지난해 11월 1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송환됐다. 김 씨는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다고 주장했지만 특검 수사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BBK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 씨가 지난해 11월 1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송환됐다. 김 씨는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다고 주장했지만 특검 수사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전반

지난해 6월 한나라 경선때 의혹제기

열린우리 본격 개입… 최대현안 부상

후반

김경준씨 미국서 귀국… 거짓말 행진

檢 “김씨, 증거 위조… 李후보 무혐의”

연장

김씨 “검사가 협박”… 신당 특검 강행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BBK 주가조작 사건’ 연루 의혹은 지난해 6월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측이 ‘김경준 씨가 대표였던 BBK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후보이며 ㈜다스와 서울 강남구 도곡동 땅이 이 후보 차명재산으로 보인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쟁점화됐다.

이어 열린우리당 박영선 의원은 6월 11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이 후보의 주가조작 연루설을 추가로 제기하며 논란에 불을 붙였다.

같은 달 20일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2001년 조사 당시 ‘이 후보와 무관하다’는 조사 결과와 관련해 “현재까지 드러난 바로는 이 후보의 주가조작 혐의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BBK 사건은 한나라당 경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열린우리당이 이 후보를 견제하기 위해 본격 개입하는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정치권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했다.

이 후보 측은 7월 박 전 대표 측을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으나 검찰의 경선 개입 논란이 불거지자 고소를 취하했다.

하지만 검찰은 “국민의 의혹을 풀어 줘야 한다”며 수사를 계속했다. 검찰은 한나라당 경선을 1주일 앞둔 8월 13일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도곡동 땅 중 이 후보의 형 이상은 씨 지분의 실소유자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스도 김경준 씨를 조사해야 소유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며 수사를 김 씨 귀국 이후로 보류했다.

의혹을 풀 열쇠였던 김 씨는 수감 중인 미 연방교도소에서 변호인을 통해 “BBK는 100% 이 후보 소유”라고 주장한 뒤 한국 송환을 자청해 지난해 11월 16일 한국 땅을 밟았고 검찰의 수사는 다시 본격화됐다.

검찰은 김 씨의 구속시한 만료일이자 대선을 2주 앞둔 12월 5일 ‘이 후보의 주가조작 공모와 BBK 및 ㈜다스 차명소유 의혹은 모두 무혐의’라고 발표했다. 김 씨가 이 후보의 BBK 소유 사실을 입증할 결정적 증거라고 제시했던 이면계약서도 위조문서로 밝혀졌다.

그러나 검찰은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를 밝히지 못했고, 김 씨가 “수사 도중 검찰의 회유와 협박을 받았다”고 주장하자 대통합민주신당은 ‘수사의 전면 무효화’를 내세우면서 특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나섰다.

특히 이 후보가 광운대 강연에서 “BBK를 설립했다”고 말한 동영상이 대선 사흘 전 공개되자 여론도 들끓기 시작했다. 신당은 이런 여론을 업고 특검법을 밀어붙였다.

이종훈 기자 taylor55@donga.com


▲ 영상 취재 : 서중석 동아닷컴 기자
▲ 영상 취재 :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