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무라인 확장 설계중

  • 입력 2008년 4월 12일 02시 50분


총선이후 임시국회 소집 문제 등 ‘수요’늘어

박희태-맹형규 의원 등 특보-특임장관 거론

새 정부 출범 직후부터 불거지던 청와대 정무 기능 보완론이 18대 총선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153석이라는 ‘불안한 과반’을 얻으면서 △‘범(汎)친박(친박근혜) 당선자’의 복당 문제 △민생 및 개혁 입법 처리를 위한 5월 임시국회 소집 문제 △전당대회 개최 등 고도의 정치적 판단을 요하는 정무 사안이 서로 얽히면서 동시에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1일 “현 정무 라인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이번 총선이 정무 기능을 배가해야 한다는 수요(需要)를 낳았다”며 “어떤 식으로든 인적 수혈 또는 조직 증설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현재 정무 라인을 류우익 대통령실장, 박재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등 주로 교수 출신이 맡고 있는 만큼 풍부한 ‘여의도 경험’을 갖춘 인사를 정치특보나 특임장관으로 중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일종의 ‘보완재론’인데, 특히 청와대의 정무적 카운터파트인 한나라당에서 더 자주 들리는 이야기다.

‘정치 고문’ 격인 정치특보 후보로는 5선의 박희태 의원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원만한 성품에 여당 최장수 대변인이라는 경력이 말해주듯 입체적인 상황 판단에 능하다. 지난해 대선후보 경선 때 이명박 대통령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는데도 낙천했고, 그러면서도 다시 총선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표밭을 누빈 데 대해 이 대통령의 부채의식도 있다는 점이 박희태 정치특보론의 근거로 거론되기도 한다.

정무장관 격인 특임장관에는 역시 낙천에도 불구하고 서울 선대위원장을 맡아 분전한 3선의 맹형규 의원이 거론된다. 무난한 성품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기획조정분과 간사를 맡으면서 이 대통령의 신임이 적지 않았다. 한때 초대 대통령실장 후보군에도 올랐다.

그러나 정작 박, 맹 의원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금시초문이다” “아직 아무런 연락을 받은 바 없다”며 부인했다.

이 밖에 당선자 중 충남권의 유일한 현역인 정진석 의원(비례대표)과 낙천한 권오을 의원 등의 이름도 들린다. 정 의원 카드는 이번 총선에서 이회창 총재의 자유선진당에 참패한 충청권에 대한 정권 차원의 ‘러브 콜’이라는 의미도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그러나 입각을 위해서는 비례대표직을 버려야 하는 최근 정치권의 불문율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어려운 선택이 될 듯하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