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은 10일 평양에서 북핵 신고와 불능화를 놓고 실무협의를 시작했다.
성 김 미 국무부 한국과장은 10일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방북해 북한 외무성 및 원자력총국 인사들과 만나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 및 핵시설 불능화와 이에 상응해 미국이 취해야 할 테러지원국 해제 등 북한 비핵화 2단계를 마무리 짓기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특히 한국이 작년에 제안한 ‘미사용 연료봉’의 국내 반입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 김 과장은 전날 저녁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이번 방북 협의는 핵시설 불능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며 “여기에는 ‘미사용 연료봉’의 처리 문제도 당연히 포함된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성 김 과장이 방북한 10일 성명을 통해 유엔 회원국으로서 반테러를 위한 모든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 외무성은 성명에서 “우리는 국제사회가 테러를 반대하는 국제법적 체계를 갖춰 나가는 데 대해 전적으로 지지하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그간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어떤 형태의 테러 행동에도 관여하지 않고, 테러 단체를 지원하지 않으며, 테러 관련 유엔 규약 및 국제 반테러 기준을 충족했음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는 점을 요구해 왔다. 이런 점에서 이번 성명은 미국의 요구에 대한 북측의 공식 견해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 소식통은 “이번 성 김 과장의 방북이 핵 프로그램 신고 및 핵시설 불능화를 둘러싼 북-미 간 마지막 협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이번 북-미 협의가 끝나면 중국은 6자 비공식 수석대표 회동 일정을 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성 김 과장은 11일 서울로 돌아와 한국의 외교 당국자들에게 협의 결과를 설명한 뒤 12일 워싱턴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