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장에는 김황식 대법관이,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에는 김대모 중앙대 교수가 내정됐다.
기획재정부 제1차관에는 김동수 기획재정부 차관보, 외교통상부 제2차관에는 신각수 주 이스라엘 대사가 각각 기용됐다. 청와대 교육비서관에는 김정기 선문대 부총장이 내정됐다.
황해도 지사에는 민봉기 인천시 지방행정동우회장, 함경남도 지사에 한원택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발탁됐다.
한때 교체가 검토됐던 한승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나머지 국무위원들은 모두 유임됐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번 개각은 정부의 면모를 일신해 국내외 어려운 여건에 심기일전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총리가 유임되고 개각 폭이 작은 이유에 대해서는 "(대통령실 전면개편 이후) 국정의 연속성 안정성 고유가 등 국내외 어려운 여건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애초 '국민 눈높이'에 맞출 것을 다짐하며 한 총리와 장관 5,6명을 바꾸는 중폭 이상 개각 가능성까지 거론했던 청와대가 '촛불정국'에 대한 안이한 판단에서 결국 빈말뿐인 정부쇄신에 그침에 따라 민심수렴과 개원 협상, 인사청문회 등 정국수습에 난관이 초래될 것이라는 지적이 야권은 물론 여권 일각에서까지 대두되고 있다.
통합민주당 차 영 대변인은 이날 "내각이 총사퇴했던 그 때의 위기상황을 벌써 잊은 듯하다"면서 "오늘의 개각은 국민의 기대에 어긋나는 생색내기용으로, 오만한 개각"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의 영남지역 재선의원은 "특히 경제 관련 부처 수장은 이미 경제계에서 상당부분 신뢰를 잃은 상황이기 때문에 교체 했어야 했다"며 "당에서도 그동안 중폭 이상 개각을 직간접 채널을 통해 전달했는데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한편 대통령특별보좌관으로 국민통합특보에는 김덕룡 전 한나라당 의원, 언론문화특보에 이성준 전 한국일보 부사장이 각각 기용됐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