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대표는 대표직에 선출된 다음날인 이날 라디오 전화 인터뷰에 잇따라 출연해 "국민적 요구인 재협상을 대통령이 거부하는 만큼 법률보다 하위개념인 장관 고시보다 확실한 내용을 가축법에 담겠다. 그러면 정부가 고시를 수정하기 위한 (재협상) 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런 견해는 한나라당이 앞세워 온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의 유통금지 조항을 가축법에 반영하면 국제 통상마찰을 부르는 만큼 곤란하다"는 논리와 상충되는 것이어서 향후 여야 등원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정 대표는 이어 "촛불집회 진압과정에 나타난 공권력의 폭행, 불법적 압수수색 문제를 푸는 것이 등원의 조건이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정 대표는 이날 쇠고기 문제 이외에도 개헌, 국회운영, 대여투쟁 방식, 당내 탕평인사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18대 국회 전반기 개헌 필요성'에 대해 "민생을 먼저 챙겨야 하며, 학자 시민사회 국민이 개헌을 꾸준히 논의하는 동안 정치권은 차분히 연구하다가 적절한 시점을 찾아야 한다"는 이유에서 시기상조론을 폈다.
자유선진당이 국회 교섭단체 구성요건을 의원 20명에서 낮추는 문제를 제기한 것과 관련해선 "위인설관식 제도 운영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걸 안다. 검토는 하겠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 대표는 온건 합리적이라는 주변 평가에 대해 "민생문제에는 적극 협조하겠지만, 여당과 싸워야 할 때는 깜짝 놀랄 정도의 강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투명한 일처리로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면 당내 화합을 이룰 수 있다. … 능력이나 헌신성을 기준으로 삼아 계파 및 출신을 따지는 편 가르기를 하지 않음으로써 소외되는 그룹이 없도록 하겠다"며 당내 탕평인사를 예고했다.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