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1일 “과거 남북 간에 합의한 7·4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비핵화공동선언, 6·15공동선언, 10·4정상선언을 어떻게 이행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북측과 진지하게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18대 국회 개원식 축하연설을 통해 “우리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비핵화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남북 모두에 이익이 되는 상생과 공영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남북당국의 전면적인 대화가 재개돼야 한다”면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6자회담 당사국들과 함께 모든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남북한 간 인도적 협력 추진을 제안한다”면서 “국군포로와 이산가족이 자유롭게 왕래하고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남북한 모두의 윤리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남북관계의 경색을 타개하기 위해 강경한 대북정책 기조에 변화를 꾀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제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지금은 강물을 거슬러 배를 끌고 가듯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가만히 있으면 고유가로 촉발된 급물살에 뒤로 밀려나고 만다”면서 “이제 모두 힘을 모아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공기업 선진화에 대해 “공공부문 선진화는 더 늦출 수 없으며 국민 대다수도 개혁과 변화를 바라고 있다”면서 “민간이 더 잘할 수 있는 영역은 민간에 넘기는 게 맞고 전기와 수도, 건강보험 등 민간으로 넘길 수 없는 영역도 경영효율화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쇠고기 문제는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줬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민 눈높이에서 국민과 함께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면서 “국민의 목소리에 더 세심하게 귀를 기울이면서 국민 신뢰를 얻는 일에 국정의 중심을 둘 것이며, 법치 원칙을 굳건히 세워 나갈 것이다”고 다짐했다.
한편 국회는 이날 개원식을 열고 김형오 국회의장의 개원사 낭독과 이 대통령의 연설을 들은 뒤 본회의를 열어 ‘일본국의 독도영유권 주장 중단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박성원 기자 sw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