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검증 가이드라인 의견 접근

  • 입력 2008년 7월 12일 03시 00분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왼쪽)와 성 김 미 국무부 과장이 11일 오전 차를 타고 북핵 6자회담이 열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의 댜오위타이로 이동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왼쪽)와 성 김 미 국무부 과장이 11일 오전 차를 타고 북핵 6자회담이 열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의 댜오위타이로 이동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 베이징 6자회담 이틀째

美 “내달 11일전 검증 시작”… 北 일부 수용한 듯

日 에너지 지원 불참 고수… 회담 진전에 큰 걸림돌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회담 이틀째인 11일 중국 영빈관인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수석대표회의와 실무그룹 회의를 잇달아 열고 북한의 핵 신고서 내용에 대한 검증 문제와 대북 에너지 지원에 대한 쟁점 타결에 나섰다.

이날 오전에 속개된 수석대표회의에서는 북한 핵 신고서의 검증 지침과 관련해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참가국 대표들은 이날 오후 비핵화 및 대북 경제, 에너지 지원 실무그룹회의를 동시에 열어 주요 현안에 대한 협상을 했다.

비핵화 실무그룹회의에서는 핵 신고 내용에 대한 검증활동의 전반적 원칙과 내용을 담을 ‘검증계획서(프로토콜)’ 작성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테러지원국 해제 조치가 발효(8월 11일)되기 전에 검증 체계를 만들고 검증 활동을 시작해야 한다는 미국 주장을 일정 부분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의 주장을 북한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테러지원국 해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북한이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제, 에너지 실무그룹회의에서는 대북 중유 및 설비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일본이 이른바 ‘일본인 납치 문제’를 이유로 대북 에너지 지원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번 6자회담의 진전 여부는 ‘일본 변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6자회담 일본 측 수석대표인 사이키 아키다카(齊木昭隆)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수석대표회담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본은 이번 6자회담에서 대북 중유 지원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설명했고 나머지 참가국들은 일본의 이런 입장을 이해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일본 외상도 이날 “대북 에너지 지원에 대한 일본의 입장은 납치자 문제에 진전이 없는 한 할 수도 없고 할 의향도 없다는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 소식통은 “국내 정치 상황이나 양자 문제를 6자회담 테이블에 올려놓지 않는다는 원칙이 깨져서는 안 된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베이징=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