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4일 일본이 중등교과서 해설서에 독도 영유권을 명기한 것을 영토주권 침해로 간주해 권철현 주일대사를 소환하고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조치를 취하기로 하는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섰다.
또 9월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담도 추후 상황을 봐가며 대처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역사를 직시하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구축해 나가자는 양국 정상 간 합의에 비춰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는 역사 문제일 뿐만 아니라 영토 주권에 관계된 것으로 분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정부는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의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는 독도가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임을 거듭 밝히며 우리의 독도 영유권을 훼손하려는 어떤 시도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처할 것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시게이에 도시노리(重家俊範) 주한 일본대사를 초치(招致)해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했다. 권 대사는 일본 외무성을 항의 방문한 뒤 16일경 소환될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9월로 논의돼 온 한중일 3자 정상회담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해 회담의 연기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