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마지막 국방장관을 지낸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21일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익 성향 위주로 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올해 초 보낸 바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역사바로잡기 차원'에서 이 같은 문제를 제기했다며 당시 "재향군인회가 강력히 내게 요구했고 내부지시로 알아보고 (내용을 파악해 본 뒤) 나 역시 공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와 사전에 조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군경이 작전을 수행하다가 민간인 피해가 생긴 것은 가슴 아프고 유감스런 일이지만, 그 자체 때문에 사안의 본질이 달라질 수는 없지 않는가"라고 말했다.
당시 국방부는 4·3사건을 '좌익세력의 무장폭동'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 의원은 국방부의 '좌편향 수정' 요청 시점이 참여정부 임기가 끝나기 직전이어서 새 정부로 바뀌기 전까지 위원회로부터의 회신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최근 4·3사건을 '좌익세력 무장폭동'으로 규정해달라는 내용의 고교용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개정 의견을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해 논란을 촉발했다.
참여정부에서도 국방부가 4·3사건을 '좌익세력의 무장폭동'으로 규정짓고 '좌편향'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 사실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국가 원수로선 처음으로 4·3사건 희생자들에게 사과하고 위령제에 참석하는 등 희생자 시각에서 이 사건을 해석한 정부의 공식 입장과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김 의원은 "4·3사건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생각에 국방부는 의견을 달리했다"며 "하지만 그 의견을 노 대통령께 직접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모든 상황을 감안해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있겠지만, 국방부는 안보책임기관으로서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4·3사건은 명백히 좌파에 의한 무장폭동"이라고 전제하고 "군경에 의한 일부 민간인 피해는 인정하지만 그것은 폭동 진압과정에서의 불가피한 사고였다"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왜곡돼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4·3사건에 대한 정부 평가가 민간 피해자 진술 위주로 돼 있고, 비록 그 분들의 말이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군경은 선량한 민간인을 제압하러 간 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전교조 중심의 좌편향된 교육을 확실히 바로잡아야 한다"며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군에 오면 어떻게 될 지도 생각해볼 문제"라고도 했다.
인터넷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