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영장집행 시도, 민주 100여명 저지로 실패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인으로부터 학비, 생활비를 받았다는 해명과 달리 정치자금 명목으로 돈을 요구했으며 검찰 수사를 받을 가능성에도 사전에 치밀하게 대비했던 것으로 검찰조사 결과 드러났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해 8월 중순 대학 동창인 친구 박모 씨에게 “정계 복귀의 갈림길이다. 대선 후보 당내 경선 비용 2억 원과 법원에 낼 추징금 2억 원 등 4억 원이 필요하다”고 부탁했지만 박 씨에게서 “2억 원 이상은 힘들다”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김 최고위원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빌린 것으로 하자. 내 명의 계좌로 돈을 보내라”고 다시 요구하자, 박 씨는 송금 직전 “미리 내 앞으로 차용증을 하나 써 둬라. 조사를 받더라도 차용증을 보여주면 더욱 완벽하지 않으냐”고 답했다. 정치자금법 위반을 의식해 입을 맞춘 듯한 정황으로 검찰은 두 사람의 e메일 압수수색을 통해 이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이 밖에 김 최고위원은 해명과 달리 박 씨와 이자 지급 시기를 논의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하거나 문제의 돈을 선관위에 채무로 신고한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씨는 현재 검찰의 출석 요구에 불응한 채 귀국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김 최고위원이 유학시절 사심 없이 자신을 후원해 준 ‘키다리 아저씨’라고 해명한 문모 씨와 처음 만난 시점도 김 최고위원이 주장한 2006년 말 또는 2007년 초가 아니라 지난해 12월 3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15만 홍콩달러(약 1790만 원)를 받은 무렵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2월 중순 문 씨에게 “4월 총선에 나가려는데 다시 도움을 청할 수 있을지요”라는 내용의 e메일을 보냈다. 같은 달 19일에는 홍콩으로 건너가 문 씨에게 지인 명의로 된 차명계좌 8개를 알려주며 2만 달러 이하의 소액으로 돈을 분산 송금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 최고위원은 총선 이후인 6월에도 문 씨에게 또 다른 차명계좌를 알려주며 당 최고위원 선거비용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윤갑근)는 16일 김 최고위원에게 법원이 발부한 구속영장 집행을 시도했으나 민주당 측의 저지로 실패했다.
검찰은 이날 오후 4시 10분경 수사관 11명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6가 민주당사에 보냈으나 서갑원 원내 부대표 등 민주당 관계자 100여 명의 저지로 50여 분 만에 철수했다.
전성철 기자 dawn@donga.com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