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석대표인 김숙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보지 못했다”며 “5개국은 ‘시료채취(sampling)’ 등 과학적 검증 절차가 반드시 명확하게 포함돼야 한다고 했지만 북한은 미국의 적대시정책과 주권 문제를 언급하면서 수용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참가국들이 검증의정서의 대부분에 관해 공동의 의견을 가지고 있었지만 북한이 거기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며 “현재로서는 중국 측이 수정안을 작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은 특히 7월 6자회담 수석대표회의의 언론 발표문에 명기한 △시설방문 △문서 검토 △기술 인력 인터뷰 등 3가지 이외에는 수용할 수 없으며 이 3가지만 해도 과학적 절차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했다고 김 본부장은 전했다.
이에 대해 미국도 반박했으나 검증 합의를 전제로 테러지원국 해제 조치를 되돌리겠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김 본부장은 말했다.
북-미 간의 견해차가 워낙 커 극적인 반전이 없는 한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마지막 6자회담은 합의서를 채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비핵화 2단계(불능화) 일정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회의를 하루 더 연장할지 여부를 11일 오전 결정한다. 그러나 김 본부장은 “북한은 우리가 희망하는 내용을 수용할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말해 회의가 연장되더라도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이 희박함을 시사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검증의정서와 대북 경제, 에너지 지원을 포괄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한국 측 제안에 “동의할 수 없다”는 견해를 거듭 표명했다고 김 본부장은 전했다.
베이징=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