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국내-해외파트 통합이 더 효율적”

  • 입력 2009년 2월 11일 02시 58분


野 “정치정보 수집은 국정원법 위반”

“포천땅 농지법 위반” 의혹에 “누나 소유” 해명

10일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정보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정보기관장으로서 원 후보자의 자질과 국정원 운영 방향 등을 놓고 오후 10시경까지 12시간 넘게 공방을 벌였다.

야당 의원들은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직 시절 원 후보자가 행정1부시장으로 2년 넘게 근무한 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원 후보자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내면서 공무원들의 휴대전화 번호를 파악해 대통령의 문자와 음성메시지를 보냈다”며 ‘대통령 측근’의 정보기관 수장 기용을 문제 삼았다.

용산 철거민 참사 책임론과 부동산 편법 거래 의혹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공격도 이어졌다.

민주당 송영길 의원은 “노무현 정부 시절 당시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은 한총련 대학생 시위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해임됐다”며 행안부 장관으로서 경찰에 대한 지휘 감독 책임을 거론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토지공사 자료에 따르면 원 후보자 부인과 누나가 1999년 5월 경기 포천의 논(1121m²)과 밭(2185m²)을 각각 600만 원, 8000만 원에 구입했다”며 농지법 위반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원 후보자는 “그 땅은 동생이 살던 땅으로, 빌린 돈을 받는 과정에서 누나가 그 땅을 넘겨받은 것 같다. 아내는 그런 계약에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으며, 땅도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처음 들었다고 한다”고 해명했다.

국정원 운영 방향에 대해 여야의 시각은 엇갈렸다.

국정원 출신의 한나라당 이철우 의원은 미국이 9·11테러 직후 15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을 만든 사례를 들며 “지금 국내에는 국가안보 관련 컨트롤 타워가 없다. 국정원장의 대통령 대면보고를 정례화해 대통령의 귀와 눈을 밝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정몽준 의원은 “국정원은 국가안보의 최종 책임기관으로서 정치 부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원 후보자는 “국가 주요 정책이 정치에서 결정되고 정치가 체제 전복 세력의 침투 대상이 되므로 정치 정보를 수집 안 할 수가 없지만 정치 관여 등에 있어 비난받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에 민주당 원혜영 의원이 “국정원장이 되면 국정원법을 어기면서 정치 정보를 수집하겠다는 것이냐”고 따지자 원 후보자는 “정치 정보 수집보다는 정치 개입을 안 하겠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말”이라고 해명했다.

원 후보자는 “정보라는 것은 국내와 국외로 나눌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며 국정원의 국내와 해외파트 부문을 통합할 뜻을 내비쳤다. 그는 “납북 어부 실태 등을 조사해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또 “남북 간 경색을 타개하기 위해 여러 연구를 하고 있고 여러 경로를 통해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북한 내부사정 등 여러 문제가 있어 당분간 경색국면을 타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원수 기자 needjung@donga.com

류원식 기자 rews@donga.com


▲정주희 동아닷컴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