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현장 누비며 일자리 창출 지휘
‘용산 참사’ 문제가 한 고비를 넘기면서 이명박 정부가 본격적으로 집권 2년차 국정 드라이브를 걸 태세다.
▽정국 이슈의 빠른 전환=청와대는 10일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자진사퇴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삼갔다. 김 내정자의 사의를 즉각 수용하지도 않았다. 다만 김 내정자 본인의 ‘고독한 결단’임을 강조하며 정국 이슈를 ‘용산 참사’에서 ‘경제 살리기’로 전환시키려는 의지를 보였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김 내정자가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퇴를 한 만큼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는 선에서 이번 사건을 마무리할 방침”이라면서 “국민도 이제는 경제살리기에 합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올 한 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다걸기’를 하겠다는 각오다.
특히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비스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중산층을 복원하기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작업도 병행하고 공기업 선진화도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진용 정비=정부는 이를 위해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각 부처의 인사 및 조직 정비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임명을 속전속결로 단행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인사청문회를 마친 국회 상임위원장은 위원회의 경과보고서를 본회의에 보고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단서 조항’을 통해 인사청문을 마친 후 폐회 또는 휴회,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경우 본회의 보고를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대통령은 현재의 경제위기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에 해당한다며 9일 오후 김형오 국회의장에게 ‘빠른 처리’를 요청해 본회의 보고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이날 오후 8시경 전자결재를 통해 임명안에 서명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하루라도 빨리 경제팀 진용을 마무리해 경제위기 극복에 나서도록 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 후보자,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절차도 이번 주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찰의 후속 인사와 국정원의 조직개편 및 인적쇄신 작업이 다음 주까지 순차적으로 완료될 예정이어서 이명박 정부의 집권 2년차 진용 갖추기는 2월 중순이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현장에, 정부는 ‘MB 법안’ 처리에 집중=이 대통령은 경제 현장을 누빌 계획이다. 이른바 ‘현장 모드’로 돌입해 경제살리기를 현장에서 진두지휘하겠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10일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를 방문했다. 5일 경기 안양 소재 ‘129콜센터’를 방문해 신빈곤층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지 5일 만에 다시 현장을 찾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릉시청에서 열린 강원도 업무보고에서 “비록 경제가 어렵지만 해야 할 일은 반드시 해 나가겠다”며 “해야 할 일은 빠르게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월 임시국회 ‘MB 법안’ 처리를 위해 대국민 홍보전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각종 정부 정책 광고, 토론회 등을 통해 법안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적극 알리겠다는 것이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