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충남 연기·공주지역에 지정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가칭 ‘녹색복합도시’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노무현 정부가 세운 당초 계획대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건설할 경우 도시 건설 효과를 제대로 낼 수 없기 때문에 보완이 필요하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념에다 ‘녹색’을 더하는 ‘녹색복합도시’로 확대 발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녹색복합도시는 기존의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과학비즈니스 도시를 결합하고, 여기에 새 정부의 핵심 동력인 녹색산업까지 접목한다는 것. 녹색산업의 핵심 연구소와 관련 기업들을 유치해 이 지역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초의 ‘녹색복합도시’로 만들자는 구상이다.
이 관계자는 “헌법재판소가 지난달 28일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에 대해 합헌결정을 내렸고, 관련 예산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안을 속히 결정해야 한다”면서 “녹색복합도시를 포함해 다른 방안들도 함께 논의한 뒤 정부의 최종 방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청와대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대체할 방안을 놓고 내부적으로 논란을 거듭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선 행정중심복합도시 자체가 효용성이 떨어지는 만큼 아예 ‘백지화’를 선언하자는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백지화를 선언하는 대신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과학비즈니스 도시를 건설하자는 것.
하지만 백지화 선언을 할 경우 충청권의 민심이 이반될 것이라는 우려가 대통령정무수석실을 중심으로 제기됐고, 최근에는 ‘행정+과학비즈니스+녹색도시’ 형태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