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5일 오전 함북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장거리 로켓을 발사했을 때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지하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의 대형 스크린에는 북한 로켓의 궤적이 실시간으로 나타났다. 해군의 첫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이 로켓 발사 직후부터 추적해 전송한 것이었다. 이런 궤도 추적은 불과 얼마 전까지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었다. 2006년 7월 5일 북한이 대포동2호 등 미사일 7기를 발사했을 때도 한국은 첫 발사 9분 뒤에야 미국으로부터 발사 통보를 받아야 했다. 그동안 미국과 일본에 의존하던 특급정보를 독자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세종대왕함의 역량을 확인한 군 수뇌부는 매우 고무된 표정이다. 군 고위 소식통은 “세종대왕함이 첫 실전 임무를 완벽히 수행한 덕분에 탄도미사일 감시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다”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은 “동해에 배치됐던 미국과 일본 이지스함보다 탐지시간이 더 빨랐다”고 귀띔했다. 세종대왕함의 활약을 둘러싼 이런 뒷얘기에 대해 군 당국은 보안을 이유로 구체적인 언급을 꺼리고 있다. 다만 군 소식통들은 “이번 세종대왕함의 능력 발휘는 북한의 로켓 발사 전 여러 차례 실시한 실전 같은 미사일 포착훈련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고 전했다.
세종대왕함은 지난달 실시된 한미 연합군사연습 ‘키 리졸브’를 전후해 남해상에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을 포착하기 위한 최대 탐지거리 점검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은 세종대왕함에 탑재된 첨단 다기능 위상배열레이더인 SPY-1D(V)가 제원대로 최대 1054km 범위의 탄도미사일을 추적할 수 있는지를 최종 확인하는 테스트였다. 당시 세종대왕함은 남해상 먼 바다에 배치돼 강릉 인근 전방기지에서 이륙한 공군 전투기들이 약 3만6000피트(약 11km) 상공까지 상승한 뒤 남하하는 과정의 비행 항적을 추적했다. 세종대왕함과 전투기의 훈련 거리는 약 600km 안팎으로 북한의 로켓 발사 때 세종대왕함의 동해 배치 지역과 무수단리 발사장 거리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투기들은 고도를 오르내리며 음속을 돌파하거나 항로를 변경하며 남하했지만 세종대왕함은 이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세종대왕함 전투정보실(CIC)의 대형 화면에 레이더가 포착한 전투기의 속도와 고도, 항적들이 실시간으로 생생히 나타나자 관계자들은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 군 소식통은 “당시 추적 물체의 이동 각도나 고도까지 탐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투기 비행고도를 4만5000피트(약 13.7km) 이상으로 올리려 했으나 전투기의 비행안전을 고려해 3만6000피트 상공에서 훈련이 진행됐다”고 말했다. 군 핵심 소식통은 “비록 로켓 대신 전투기로 사전 훈련을 했지만 세종대왕함의 성능을 충분히 신뢰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첫 실전 임무에서도 좋은 결실을 거뒀다”고 말했다. 해군은 2012년까지 3척의 이지스함을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진수식을 하고 현재 성능평가 중인 이지스함 2호인 율곡이이함까지 실전 배치되면 한국군은 더욱 광범위한 탄도미사일 탐지능력을 확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