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1일 태국 파타야에서 열린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역사인식 왜곡 문제를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40분가량의 회담이 끝나갈 무렵 “한일 양국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역사인식 문제 등으로 양국관계가 주춤하는 일이 있었지만 양국관계가 후퇴할 수는 없다. 일본도 이 점을 깊이 인식해 오해를 빚는 일이 없도록 신중히 대처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이 올 들어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를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일본 정부가 왜곡된 내용을 담은 지유샤(自由社)판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검정을 통과시킨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일부에서 북핵 6자회담이 냉각기를 가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으나 우리는 6자회담을 통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아소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한중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아소 총리와 원 총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성명 또는 결의안 채택 등 북한에 대한 제재 수위와 형식을 놓고 의견이 맞섰다고 한다. 그러자 이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서는 3국이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며 그래야 어떠한 형식이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북한에 대해 조속한 시일 안에 단합된 목소리로 단호한 결의를 보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며 중재에 나섰다. 원 총리도 “이 대통령의 의견에 공감한다. 3국이 긴밀하게 소통하여 곧 유엔을 통해 일치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하면서 논란이 일단락됐다고 김 부대변인은 전했다.
정용관 기자 yongar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