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작전지휘한 李국방 단호한 응징태세 북한이 2차 핵실험에 이어 서해지역에서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이상희 국방장관(사진)이 단호하고 확고한 응징태세를 잇달아 강조해 눈길을 끈다. 이 장관은 올해 초부터 국회와 국방정책설명회 등에 참석해 ‘북한의 선제 도발 시 발사지점을 타격’ ‘즉각 대응으로 현장 종결’ ‘현장지휘관에게 작전권 대폭 위임’ 등 강력한 대처 의지를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군 최고수장으로 혹시 있을지도 모를 북의 군사적 오판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메시지라는 평가이지만 일각에선 강경 일변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29일 “이 장관이 강력 대응방침을 고수하는 것은 2차 연평해전에서의 아군 희생을 꼭 설욕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2002년 6월 29일 2차 연평해전 때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으로서 교전작전을 총지휘했다. 당시 군 당국은 교전 발발 2주 전부터 감지된 북한경비정의 잇단 북방한계선(NLL) 침범 등 유력한 도발징후를 무시했고, 결국 아군 고속정이 북한경비정에 함포 기습을 당해 윤영하 소령 등 장병 6명이 숨지고 19명이 다치는 등 인명 피해가 컸다. 군 당국은 교전규칙에 따라 북 도발에 대응했다고 밝혔지만 아군 함정들이 도주하는 북한경비정을 침몰시키지 못하자 군 안팎에서 해당 지휘관들의 책임 문제가 제기됐다. 일각에선 1999년 북한경비정을 침몰시키는 등 대승을 거둔 1차 연평해전과 비교해 ‘패전’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이후 합참은 교전규칙을 강화해 그해 11월 NLL을 또다시 침범한 북한경비정에 경고포격을 가하는 등 적극 대처했지만 2차 연평해전의 ‘아픈 기억’은 이 장관을 따라다녔다. 지난해 2월 이 장관이 내정됐을 때 일부 우익단체에선 “2차 연평해전의 패장으로서 국방수장의 자격이 없다”며 내정 철회를 주장했다. 청문회에선 일부 의원에게서 2차 연평해전의 희생 장병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의식한 듯 이 장관은 지난해 2월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 사령부에 세워진 2차 연평해전 전적비를 참배했다. 당시 이 장관은 격려사 도중 부하들이 적어준 ‘NLL을 수호하다’란 문구를 ‘우리 바다를 수호하다’로 고쳐 읽어 영해 수호 의지를 강조했다. 합참 관계자는 “2차 연평해전을 지휘한 이 장관은 당시 전사한 장병들에게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다”며 “북이 또 서해도발을 감행할 경우 철저히 응징해 장병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겠다는 각오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