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체제 비관론 잇따라

  • 동아일보
  • 입력 2009년 11월 6일 14시 53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후계자로 지명한 3남 김정은은 자신의 후계체제 구축에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국내 전문가들의 비관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1983년생으로 26세에 불과한 김정은으로서는 아버지가 살아있는 동안 확고한 권력기반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6일 대통령 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코리아미래재단이 강원 정선군 하이원리조트에서 '북핵문제 해법과 남북관계 발전방향'을 주제로 개최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김정은 후계 체제에 대한 회의론을 폈다. 그는 "김정일도 아버지 김일성처럼 군(軍)을 동원해 체제 정비를 하고 아들로 후계를 넘겨주는 구도의 발판을 마련하려 하고 있지만 과연 어린 후계자가 기라성 같은 군인들 틈에서 생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정일이 핵 개발에 집착하고 대미관계를 개선하려는 것도 바로 이런 우려 때문이라고 윤 교수는 해석했다.

그는 "(김정일은) 군이라는 호랑이 등에 탄 아들이 먹히지 않고 무사히 내려올 수 있도록 핵무기도 쥐어주고 미국과의 관계 개선도 동시에 남겨주려 한다"고 해석했다.
김진무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북한연구소가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북한의 정치변동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로 개최한 학술회의에서 "김정일이 죽고 김정은이 3대 세습체제를 구축하더라도 권력 엘리트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돼 권력투쟁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권력 엘리트들을 완벽하게 통제하는 김정일식 통치스타일은 국정을 완전하게 장악해야 먹혀 들어가지만 김정은의 권력기반은 아직 확고하지 못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은 김정일 사후 북한에서는 △후계자의 무능력에 따라 국정이 마비되고 무정부상태로 발전하는 '정권의 자연사형' △김정은으로의 권력 승계 과정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하거나 유혈 충돌이 발생하는 '권력투쟁형' △김정은 정권이 개혁·개방 정책을 폈다가 주민들의 의식이 성장해 정치적 개혁을 요구하면서 정권이 국민의 저항에 부딪히는 '개혁·개방형' 등 3가지 경로로 급변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09-11-07 00:17:28

    윤교수 북한문제는 그렇게 당신의 허접스런전망 따위로 해결될수없는것이요 관련기사(소설) 나 들은풍월로 헛소리해대지말고 다른 일자리찾아 의식주해결하시요 뭘 알고 주절대면 인정해주겠지만 솔직히 당신 북한에서 살아봤소? 왜 지금껏 반목과대립이 계속되는지 생각해봤소 당신같은 위선자가 아는척 소견머리 굴리기때문이요 하긴 당신뿐만아니고 뭐 북한문제 연구소 라는 것들도 마찬기지만.....

  • 2009-11-06 16:41:52

    아래 종근아! 너같은 종북 빨갱이 눈에는 그렇게 보이겠지. 굶어죽어간 300만 북한동포는 눈에 안보이지? 통일되면 너같은 인간은 북한동포들 손에 능지처참 당한다. 민주당, 민노당 똘만이들도 마찬가지.

  • 2009-11-07 06:35:50

    역사상 독재정권은 긴 역사의 하나의 소수점일 수 있다.지금까지의 수 많은 국가의 역사가 그러했다.역사의 주인공은 항상 국민들이었고 국민들이 승리했다.이것은 진실이다.그러므로 북한도 결국은 주민들이 승리한다.북한 독재정권은 김정일이 마지막이다.후계자란 말은 더 이상 없다.남북한은 2012년쯤가면 통일 무드가 일어날것이다.결국 북한은 아무리 중국이 경제적으로 지배하고있지만 남한에 흡수통일이 된다.이것은 닥아올 역사적인 진실이다.한국정부나 민간단체에서는 예상보다 빨리닥아올 통일을 준비해야한다.우리가 원하든 원치않든간에 북한은 우리가 책임지고 해결해야할 숙제다.현재 탈북자를 대하는 정부의 한심하기짝이없는 탈북자정책을 볼 때 갑짜기 통일이된다면 한국은 후진국으로 전락 할 수도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