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통합 6곳 선정…통합대상 선정 16개 시군 반응

  • 동아일보
  • 입력 2009년 11월 11일 03시 00분


자율통합 대상지역으로 선정된 6개 권역 주민들은 대부분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그러나 통합 대상 시군별로 의회의 반대의견이 많은 곳이 있어 실제로 의회를 통과할지는 미지수다. 행정안전부는 전체 주민투표까지 실시할 예정이지만 이번 여론조사에서 겨우 과반인 경우 해당 자치단체의 집행부가 반대여론몰이에 나선다면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수원만 찬성… 화성-오산 “조사 못믿겠다”

수원-화성-오산 : 수원은 찬성하는 반면 화성시와 오산시는 반대하고 있다. 김용서 수원시장과 홍기헌 의회 의장은 “역사적으로 한 도시인 3개 시 통합은 당연한 일”이라며 “의회 승인이 어렵다면 주민투표까지 갈 생각으로 공청회 등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수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3개 시 통합보다 화성과의 통합을 원했던 오산시는 의외라는 반응이다. 윤한섭 오산시 의회 의장은 “통합하려면 화성과 통합해야지 수원, 화성과 통합할 경우 거대도시에 흡수돼 오산은 변두리가 될 것”이라며 “여론조사 결과가 의외”라고 말했다. 최영근 화성시장은 “그동안 일관되게 통합 반대를 주장해 왔고 지금도 변함이 없다”며 “조사대상과 선정기준 등 여론조사 신뢰도에 의문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 시장들 “환영”… 하남시의회 반대가 관건

성남-하남-광주 : 이대엽 성남시장과 김황식 하남시장, 조억동 광주시장이 모두 “기대했던 결과이며 주민들께 감사한다”고 환영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1000년을 한 뿌리로 살아온 정체성이 이번 통합찬성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3개 시가 통합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자족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하남시 의회의 경우 현재 시의원 5명 중 민노당 2명, 민주당 1명 등 3명이 반대하고 있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성남권은 하남시 의회 의결을 통과하는 게 실제 통합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인구 108만명 도시 탄생에 대체로 환영

마산-창원-진해 : 중부경남 3개 시 가운데 마산시는 통합대상 선정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황철곤 마산시장은 “1차 관문을 통과한 만큼 3개 시 통합은 이뤄질 것으로 확신한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창원과 진해시도 대체적으로 찬성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진해시 의회는 다소 다른 입장을 보였다. 진해시 의회 김화용 부의장은 “부산 인근인 동부와 서부지역 주민 의견이 달라 반드시 투표에 부쳐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 마산, 진해와 통합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함안군은 “어떤 형태의 조합이든 통합을 통해 동반 발전을 기대했으나 배제됐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창원, 마산, 진해를 합치면 인구 108만3000명이 된다.
■ 의왕 찬반 엇비슷해 주민투표 낙관 못해

안양-의왕-군포 : 이필운 안양시장은 통합에 찬성이지만 노재영 군포시장과 이형구 의왕시장은 입장 표명을 꺼렸다. 시의회 역시 안양시의회는 찬성 입장이지만 현재 군포와 의왕시 의회는 반대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져 통합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시 의회 김국진 의장은 “의원들의 찬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결의안도 채택한 만큼 의회 통과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양통합추진위원회 변원신 회장은 “군포와 의왕시 의회에서 반대한다면 주민투표에서 결판을 짓겠다는 각오로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군포시 의회 이경환 의장은 “의원들이 찬반으로 많이 갈려 있어 뭐라 얘기하기 힘들다”고 말을 아꼈다. 의왕지역 역시 이번 여론조사에서 찬성이 50%를 갓 넘을 정도로 찬반 의견이 비슷해 의회에서 부결되면 주민투표 통과를 낙관할 수 없는 형편이다.
■ 3번째 통합나서… 청원은 여전히 떨떠름

청주-청원 : 청주시는 청원군의 찬성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오자 아쉬워하면서도 통합 대상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안도하는 분위기다. 남상우 청주시장은 “청주와 청원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첫걸음을 뗐다”고 환영하면서도 “청원군 의회가 통합 의결하기를 기대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청원군민들이 주민투표에서 현명한 판단을 하리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반면 김재욱 청원군수는 “청원-청주 통합의 경우 여론조사 결과가 불과 0.4% 정도밖에 차이 나지 않는 데도 정부가 주민투표로 통합을 밀어붙이는 것은 현명하지 않고,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청주-청원은 1994년과 2005년 두 차례 통합이 추진됐지만 주민투표 결과 청원군의 반대로 통합이 무산된 바 있다.
■ 규모 큰 진주 “산청과 단독통합 검토 안해”

진주-산청 : 시민 66.2%가 찬성한 것과는 달리 진주시 관계자는 “서부경남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하지만 산청군과의 통합은 전혀 검토하지 않았고, 사전 협의도 없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산청군의 일방적인 ‘구애’라는 것. 진주시 의회 역시 “산청은 선거구가 다를 뿐 아니라 통합으로 예상되는 이익도 많지 않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재근 산청군수는 “많은 산청 출신이 진주지역 학교에 다니거나 생활하고 있다”며 “생활권이 같은 진주시와 통합해 새로운 발전을 꾀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주와 산청을 합치면 인구 37만367명이다.
■ 남양주 “무산 아쉬워”… 구리는 “당연”

당초 통합 가능성이 높아보였던 경기 남양주-구리시는 두 도시 간 의견이 엇갈렸다. 남양주시는 “두 도시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는데 안타깝다”고 아쉬워한 반면 구리시는 “당연한 결과”라며 환영했다. 전북 전주-완주 역시 통합을 추진했던 전주시는 ‘안타깝다’는 반응인 반면 통합 반대가 많았던 완주군은 반겼다. 전남 광양만권(여수 순천 광양)과 무안반도권(목포 무안 신안) 등 2개 권역에서도 찬성과 반대 입장이 지역별로 차이가 났다.

수원=남경현 기자 bibulus@donga.com

창원=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청주=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