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엔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동참하며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한 첫 시범 조림사업 대상지로 인도네시아 롬복 섬을 선택했다.
11일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산림청에 따르면 한국과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12월 3일 공동위원회를 열고 인도네시아 서부 누사틍가라 주에 있는 롬복 섬 동남부 해안지역 300ha(300만 m²·여의도의 3분의 1을 조금 넘는 크기)를 시범 조림단지로 결정했다.
정부는 2006년과 2007년 인도네시아 정부와 조림사업을 통해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공동으로 참여한다는 양해각서(MOU)를 잇달아 체결한 뒤 현지에 당국자들을 파견해 양국의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입지 선정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번 사업의 한국 측 프로젝트매니저인 이규태 산림청 과장은 “인도네시아 측과 롬복 섬과 반둥 시 등 세 곳을 놓고 비교한 끝에 유엔이 정한 기준에 가장 적합한 롬복 섬을 대상지로 최종 결정했다”고 말했다.
양국 정부는 롬복 섬 조림지를 국제기후변화협약(UNFCCC)상의 ‘신규 조림 및 재조림 청정개발(AR CDM) 사업’으로 인정받아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할 예정이다.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에 따라 일정한 기준에 맞는 조림사업을 한 나라는 인센티브로 이산화탄소 배출 허용량을 더 확보하거나 이산화탄소를 더 배출할 권한을 다른 나라나 기업에 팔 수 있다.
이 과장은 “AR CDM 사업으로 인정받으면 롬복 섬 조림사업은 인도네시아 최초의 조림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권 사업이 된다”며 “앞으로 양국 간 산림분야 기후변화 사업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상지가 선정됨에 따라 한국과 인도네시아 중앙정부는 지난해 12월 31일 주지사 등 누사틍가라 지방정부 당국자들에게 조림사업 계획을 통보하고 지역주민의 동의를 확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양국은 이르면 올해 12월 첫 조림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그동안 포스코와 SK 등 민간 기업들이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한 해외 조림사업에 착수한 적이 있으나 정부가 같은 목적으로 국내외에 조림 대상 지역을 확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손요환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는 “대상지를 찾는 어려운 과제를 통과한 만큼 지역주민의 생활수준 향상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실제 조림에 착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