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방문 중인 정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달 27일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재개시기에 대해 “최근 정황으로 볼 때 조만간 6자회담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며 “시기로 본다면 올해 전반기 중 3, 4월 정도로 얘기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최근 북한은 6자회담에 돌아오는 전제를 갖고 여러 가지 얘기를 하고 있으며 (복귀를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추가 북-미 대화와 관련해 “미국이나 한국, 중국 모두 북한을 6자회담에 나오도록 하기 위해 북한 나름의 논리나 체면을 어느 정도 고려해야 되지 않느냐는 생각을 하고 있고, 특히 중국이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나 한국은 북한이 미국과 추가 접촉을 원한다면 6자회담과 확실히 연계해 6자회담의 틀 안에서 북-미 접촉을 하는 것은 수락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북-미 추가접촉은 6자회담의 재개를 전제로 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북한이 요구하는 평화협정체결 논의를 개시하기 위한 ‘비핵화의 일정한 진전’과 관련해 이 당국자는 “6자 수석대표회의가 열린 2008년 12월 시점보다는 더 진전된 조치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위한 전제조건 중 하나로 주장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완화 요구에 대해 “제재는 미국이 단독으로 한 것이 아니고 중국, 러시아도 함께 참여한 안보리 결의로 추진됐고, 결의 문안에 제재 완화는 비핵화의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제재 완화를 하려면 안보리가 다시 결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추진 중인 방미를 추가 북-미 대화와 연결지어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추가 북-미 접촉이 김 부상의 뉴욕 방문 시 이뤄질지, 베이징(北京)에서 별도로 만나 할지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협의를 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