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8일 이명박 대통령이 때가 되면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중대결단을 내릴 것이며, 지방선거 이후 ‘원포인트 개헌’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세종시 문제가 지금처럼 아무런 결론을 못 내리고 계속 지지부진하면 (이 대통령이) 세종시와 관련해 적절한 시점에 중대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중대결단을 내리게 되면 세종시 발전안(수정안)이 (현실화)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 절차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방침은 지난주 닷새 연속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도 불구하고 당론 채택에 실패하는 등 세종시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만큼 조만간 정면승부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뜻으로 읽힌다. 특히 절차적 해법을 언급한 것은 국민투표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국민투표라고 명시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청와대 내에서는 국민투표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기류도 흐르고 있다. 따라서 이 대통령이 중대결단을 내린다고 해도 국민투표가 아닌 다른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는 이번 주부터 진행될 한나라당 중진협의체의 논의 절차가 있는 만큼 이를 지켜본 뒤 대응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이달 초에 충남을 방문하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1일 3·1절 기념사에서도 ‘국민 통합’을 강조하며 우회적으로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국론분열을 조기에 종식하고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총의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개헌과 관련해 “국회에서 논의할 사안이지만 6월 지방선거 이후에 ‘원포인트 개헌’을 추진하려고 한다. 이 대통령은 개헌에 대한 소신을 갖고 있다”고 말해 올 하반기부터 권력구조 개편에 초점을 둔 개헌 논의가 본격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제한적이지만 헌법에 손을 대는 과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는 올해 국정 기조 캐치프레이즈를 ‘경제 온기 윗목까지’로 정했다. 경제회복의 온기가 서민층까지 두루 퍼지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