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천안함 침몰 나흘째인 29일 두 동강이 난 함수(艦首)와 함미(艦尾)의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고 실종자 수색 작업을 펼쳤다.
해군 잠수요원들은 이날 오후 9시 반까지 함수와 함미의 내부 진입을 위해 잠수를 시도했지만 조류가 거세고 시야가 나빠 천안함 내부에 진입하지 못했다. 함내 진입이 이뤄져야 실종자의 생존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군은 이 과정에서 함미 선체에 구멍을 뚫고 산소통을 부착해 산소 주입을 3차례 시도한 결과 1차례 성공했다고 해군 관계자가 밝혔다. 군은 30일 오전 2시 구조작업을 재개할 방침이다.
이기식 합참 정보작전처장은 29일 브리핑에서 “28일 오후 10시 31분 기뢰탐지함이 음파탐지기로 함미 부분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했으며 오늘(29일) 잠수요원들이 선체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함미에 ‘인도색(해상에서 배까지 연결하는 끈)’ 설치를 끝냈다”고 밝혔다. 그는 “잠수요원들이 실종자들이 갇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함수와 함미 곳곳을 망치로 쳐 신호를 보냈지만 안에서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함미는 폭발이 발생한 곳에서 북쪽으로 180m 떨어진 수심 40m 지점에서, 함수는 사고 다음 날 뒤집힌 채 수중으로 완전히 사라진 곳에서 남쪽으로 45m 떨어진 수심 24m 지점에서 각각 발견됐다. 이 처장은 “해저에 있는 천안함의 함수는 완전히 거꾸로 누워있고 함미는 왼쪽으로 90도 기울어진 상태로 확인됐다”면서 “잠수요원들이 12, 13분 간격으로 계속 잠수를 하며 실종자 확인 작업을 하고 있지만 바닷속 시계가 나빠 손으로 더듬으며 탐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수심 40m 이상이면 구조함인 광양함의 심해잠수장비를 이용하고, 40m 미만일 경우 해난구조대의 잠수로 실종자 구조 및 선체 인양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29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천안함 폭발 원인에 대해 “한국군 기뢰는 서해안에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폭발 가능성은 낮다”며 “6·25전쟁 직후 북한이 운영했던 바다 기뢰는 그동안 많이 제거했지만 완벽한 철거가 안 됐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고. 북한이 부유기뢰를 외곽에서 흘렸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