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정치
北-中 경협 본격화되나…北인사 잇단 방중
동아일보
업데이트
2010-05-21 14:00
2010년 5월 21일 14시 00분
입력
2010-05-21 13:16
2010년 5월 21일 13시 16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라진항장 훈춘 방문, 외무성 中국장 랴오닝 시찰
북한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중국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당시 합의된 양국 간 경협을 실무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1일 중국의 외교 소식통과 연변 조선족자치주에 따르면 북한 라진항의 배호철 항장이 지난 19일 연변 조선족자치주 훈춘 시를 방문, 강호권 훈춘시장과 면담했다.
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라진항은 뛰어난 지리적 조건을 갖췄으며 바다 진출을 원하는 훈춘시의 전략 거점"이라며 "창리 등 중국기업들이 라진항을 통해 중국 남방은 물론 한국과 일본, 러시아 항로 개척을 추진 중인 만큼 적극적으로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배 항장은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고위급 지도자와 경제 협력을 논의, 양국 변경지역의 협력에 더없이 좋은 환경을 만들었다"고 평가한 뒤 "훈춘시의 라진항을 통한 바다 진출을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그는 "라진항 진출을 모색하는 중국 기업들과 논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롄에 본사가 있는 창리는 2008년 북한으로부터 라진항 1호 부두 사용권을 확보, 1호 정박지 보수공사를 통해 연간 150만t을 하역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중국은 라진을 통한 동해 항로 개척을 위해 3월 훈춘-함경북도 은덕군 원정리를 잇는 두만강 대교 보수공사에 착수, 이달 말 완공 예정이다.
중국 해관총서는 이달 초 훈춘-라진-상하이 항로 개설을 승인했다. 이 항로는 훈춘-원정리 다리 보수가 끝나는 대로 개통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라진항을 이용한 한국과 일본, 러시아 항로 개척도 추진 중이다.
배 항장의 방중에 앞서 지난 17일에는 김광훈 북한 외무성 중국국장을 대표로 하는 북한 방문단이 신의주 접경인 단둥을 방문해 리수민 부서기와 면담했다고 외교 소식통들이 전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10월 착공 예정인 신압록강 대교 건설을 비롯해 북중간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방북 당시 신압록강 대교 건설에 합의했다. 올 초부터 압록강의 섬인 위화도와 황금평을 자유무역지구로 개발하겠다며 중국 기업들을 상대로 투자자 유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국장 일행의 방중 날짜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단둥 방문에 앞선 13일 랴오닝 성 푸신시를 방문, 버섯 재배 농장을 시찰한 것이 확인됐다. 푸신시 관계자는 "상부의 지시로 김 국장 일행을 버섯 재배 농장에 안내했으나 방문 목적 등에 대해서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런 점으로 미뤄 김 국장 일행의 이번 방중이 중국의 영농 기술 전수와 대북 투자가 모집 등 북중 경협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3~7일 중국을 방문한 김 위원장은 후진타오 국가 주석, 원자바오 총리와 차례로 회담하면서 양국 간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방중 기간 다롄과 선양을 방문하는 등 동북지방에 큰 관심을 보여 북한과 동북지방 간 경협 가능성이 제기돼왔다.
인터넷 뉴스팀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소비자원, 티메프 여행상품 집단소송 지원 신청 받는다
[횡설수설/신광영]그날 밤 국회 단전
김현태 707단장 “국회 단전은 대통령 아닌 특전사령관 지시”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