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원 선거는 누가 투표용지 윗자리를 뽑느냐에 달렸다”는 말은 우스갯소리가 아니었다. 2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교육의원에 당선된 82명 중 53명은 투표용지 맨 윗자리에 이름을 올린 후보였다. 또 24명은 두 번째 자리에 이름을 올린 후보다. 투표용지의 이름 게재 순서를 정하는 추첨에서 1, 2번을 뽑은 후보 중 94%가 당선됐다.
‘현직 프리미엄’을 갖고 있는 현 교육위원들도 ‘1번 효과’ 앞에서는 힘을 써보지 못했다. 서울에서 재선에 도전한 이부영, 강호봉 위원은 추첨에서 뒷 번호를 뽑아 1번을 뽑은 후보에게 패했다. 다른 지역에서도 이름 게재 순서가 늦은 현역 교육위원들이 줄지어 낙선했다.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당선된 전남, 전북에서는 진보 성향 교육의원이 한 명도 당선되지 않았다. 유권자들이 누가 진보 성향 교육의원 후보인지 몰랐기 때문이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5개 선거구 중 4곳에서 진보성향 후보가 출마했지만 1번이나 2번을 뽑은 후보에게 전부 졌다”며 “도민들이 진보 성향의 교육감 후보가 누구인지는 미리 알고 찍었지만 교육의원 후보까지는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의원 무효 투표율이 5∼10%에 이르는 등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비해 무효표가 많았다.
그러나 상위 번호 추첨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됐던 또 다른 ‘로또’인 시도교육감 선거는 교육의원 선거 결과와는 달랐다. 당선자 16명 중 1번을 뽑은 후보는 6명이었고 2번은 4명, 3번은 5명, 7번이 1명으로 투표용지 순서가 결정적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감 후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예상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행 교육감 선거 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은 줄지 않았다. 영남은 보수 성향 교육감, 호남은 진보 성향 교육감으로 명확히 갈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도 정치색은 여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