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는 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세계와 탈북자들의 소식을 전하는 단파방송인 자유아시아방송(RFA)의 활동 시한을 철폐하고 영구 지원키로 결정했다.
하원은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전체회의를 열어 현행법상 9월로 활동 시한이 만료되는 RFA 관련 규정을 삭제하고 이 방송이 영구적으로 존속토록 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상원도 지난달 25일 같은 내용을 가결했다.
RFA는 1994년 미 의회가 제정한 ‘국제방송법’ 규정을 근거로 1996년 3월 주로 언론자유가 제한돼 있는 독재국가에 민주주의를 전파하겠다는 목적으로 세워진 비영리 공익방송. 의회가 출자했다.
한국어, 버마어, 중국 광둥어, 크메르어, 베트남어 등 9개 언어로 방송하고 있으며 라디오와 인터넷으로 운영되고 있다. RFA 운영 규정은 법에 한시 조항이 들어 있어 그동안 시한이 도래할 때마다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지만 이번에 법 조항을 개정해 RFA를 영구 지원키로 한 것.
공화당의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은 “RFA는 전제주의 체제를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북한 내 정보 통제력은 과거처럼 강하지 않다”며 “정보가 들어가면서 북한을 둘러싼 정보장막이 찢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의 다이앤 웟슨 하원의원도 “이번 결정으로 미국이 아시아를 비롯해 세계에 언론자유를 지지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법 개정안은 상원에서는 공화당의 리처드 루거 의원이, 하원에서는 로이스 의원이 대표 발의자로 나서서 입법을 추진했다. 탈북자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미국 싱크탱크의 조사 결과에서 2006년 이후 탈북자 중 절반 이상이 RFA 등 외국 방송을 정기적으로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