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건 “공직윤리실 민간사찰 사례 또 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7월 13일 03시 00분


“세금추징-형사처벌 받았다
변호사가 고객 사례 알려와”
민주 ‘영포’ 공격수 추가투입

민주당은 12일 영포게이트 특별조사위원회를 확대 개편했다. 현재 9명으로 구성된 조사위원회에 ‘화력’이 좋은 이석현 박영선 최재성 의원을 추가했다. 대여 공세 수위를 한층 높여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또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영포게이트 대책회의에서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를 불법 사찰한 사례 외에도 추가로 당에 접수된 문제 사례를 공개하며 여권을 압박했다.

이날 공개된 제보 내용 중 50대 남성이 지난해 6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추모 동영상을 만들어 인터넷에 올린 뒤 서울중앙지검에서 “당신의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이라는 협박을 받았다는 것이 눈에 띄었다. 노 전 대통령 관련 물품을 판매한 온라인 상거래업체가 지난해 12월 정부 부처에서 압수수색을 당한 사례도 제보 내용에 포함됐다. 이 밖에도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가 현 정부에서 금융기관의 압력을 받아 회사를 떠났다는 제보 내용도 공개됐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영포게이트 대책회의에서 “한나라당 의원의 입에서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상득 의원 라인’을 언급하고 있다. 민주당은 ‘박영준-이상득 라인’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은 전광석화처럼 환부를 도려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영포게이트는 사실상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 때문에 비롯된 것”이라며 “특정 지역과 학교 출신 인사만 발탁해 등용한 결과 이들이 비선(秘線)라인을 형성했다. 이번 인사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당 ‘영포게이트 진상조사위’ 위원장인 신건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문서수발대장을 분석하고 있는데 민간인 사찰이 의심되는 대목이 상당수 보인다”며 “한 변호사가 (고객이)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사찰을 받고 국세청과 경찰에 통보돼 세금을 추징당하고 형사처벌까지 받은 사건을 알려왔다”고 주장했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