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원심분리기 2000개 가동”]“오바마, 새 핵위기 직면”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11월 22일 03시 00분


보즈워스 일정 바꿔가며 한국행

북한이 우라늄 농축에 사용되는 원심분리기를 이달 초 방북한 시그프리드 헤커 박사를 통해 공개한 뒤 한국과 미국은 신중하면서도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한이 새로운 핵개발 능력을 과시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의도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지만 앞으로 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새로운 위기국면이 조성될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 미국, 보즈워스 대표 급파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1일 한국 일본 중국 등 3개국 순방에 들어갔다. 이날 밤 인천공항에 도착한 보즈워스 대표는 이번 순방의 목적을 “관련국과 대북협상의 다음 단계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2일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찬을 하면서 북한 핵개발 상황에 관해 협의한 뒤 외교부 청사로 김성환 외교부 장관을 예방해 면담할 예정이다.

보즈워스 대표는 당초 22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반도 관련 세미나에 참석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북한이 헤커 박사에게 수백 개의 원심분리기가 설치된 시설을 공개했다는 내용의 뉴욕타임스 보도가 전해질 무렵 개인 일정을 전격적으로 취소하고 아시아 방문길에 올랐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 국무부는 보즈워스 대표가 미국 정부기관 대표로 이뤄진 대표단을 이끌고 출발한 뒤에야 보즈워스 대표의 순방 사실을 공개했다”고 전했다. 미국이 그만큼 이번 순방을 중대하고 급박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인 셈이다.

이번 보즈워스 대표의 아시아 순방에는 성 김 북핵 6자회담 특사가 포함되지 않은 대신 엘리엇 강 국무부 비확산담당 부차관보가 동행하고 있다. 이는 이번 순방이 6자회담 재개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북한의 원심분리기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국 간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대응책 마련에 나선 한국 정부

한국 정부도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급박하게 움직였다. 정부는 미국을 통해 북한이 원심분리기를 공개했다는 얘기를 일주일 전에 파악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위 본부장은 보즈워스 대표와 22일 한미 양국의 공동대응 방안을 협의한 뒤 이날 오후에 곧바로 중국으로 건너가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대응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위 본부장은 18일 도쿄를 방문해 일본 측과 북핵 문제 대처방안을 협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 사이에선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라는 반응도 있다. 북한이 이미 지난해부터 우라늄 농축을 통한 경수로 건설을 공언해 왔고 2002년 제2차 북핵 위기의 시발점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이었던 만큼 새로운 뉴스가 아니라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공공연히 주장하고 나섰으니 신빙성이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며 “북한이 몸값을 올리려고 하는 것이니 우리가 흥분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 6자회담의 향방은?

북한이 원심분리기의 존재를 공개한 것은 6자회담을 빨리 열어 그동안 요구해온 제재 해제와 평화협정 체결 문제를 논의하자는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 한 소식통은 “과거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뒤 6자회담에 응한 것만으로도 자신들에 대한 제재가 중지되고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 문제가 해결됐던 경험을 다시 반복하려는 의도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북한의 부정적 움직임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 정부의 등을 돌리게 만들어 6자회담 재개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외교소식통은 “현재 상황은 6자회담 협상 재개 여부를 떠나 북한의 비핵화를 이루느냐 마느냐의 엄중한 시점”이라며 “현재와 같은 북한의 협박은 대화를 통한 좋은 진전을 기약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영식 기자 spea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