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포격 도발]나라 안팎 “北 규탄” 들끓는데 정치권은 내전

  • Array
  • 입력 2010년 11월 27일 03시 00분


野 “햇볕정책으로 제2연평도 막아야”… 與 “준전시 상황에 대북정책 흔드나”

움푹 파인 北해안… 남측 대응 사격 흔적?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서해안에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26일 서해 대연평도에서 직선거리로 12㎞ 떨어진 북한 황해남도 강령군 부포리 마을 앞 한 섬에 남측이 대응사격한 것으로 보이는 포탄의 흔적들이 산사태가 난 것처럼 군데군데 파여있다. 하지만 북한의 피해 정도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연평도=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민주당 지도부는 26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발생한 근원적 책임은 현 정권의 대북강경책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6·2지방선거에서 여론의 호응을 받았던 ‘전쟁과 평화’ 구도를 다시 꺼내 들면서 ‘햇볕정책’을 흔들림 없이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연평도 포격 도발을 둘러싼 정치적 책임론 공방이 벌어지는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 ‘햇볕정책’을 놓고 파열음이 터져 나오는 상황을 조기에 진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햇볕정책은 당의 이념적 ‘지주’나 다름없다는 절박감이 묻어났다.

손학규 대표는 이날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명박 정권이 얼마나 안보에 무능한 정권인지를 똑똑히 봤다”며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강조하지만 수단도, 대응책도, 대응할 능력도 없는 무능한 정권이었다”고 공격했다. 이어 손 대표는 “우리는 철저히 대비하고 단호한 대응을 해야 하지만 결코 전쟁은 해결책이 아니다. 우리가 갈 길은 평화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동영 최고위원은 “연평도 사태는 민주 정부 10년의 햇볕정책이 한반도 평화를 보장하는 유효한 정책임을 입증했다”며 “민주당은 절대로 햇볕정책의 정체성을 포기하거나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대북 포용정책의 핵심은 전쟁무용론이다”라며 “‘전쟁을 각오해야 평화가 온다’는 현 정권의 전쟁불사론은 무책임한 허장성세”라고 비판했다.

정세균 최고위원 역시 “제2의 연평도 사태를 막는 방법은 햇볕정책을 더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라며 “국방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은 정책을 바꾸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이 강력한 안보를 운운하면서도 업적을 위해 4대강에 매몰돼 있었기 때문에 이 꼴(연평도 포격)이 된 것”이라며 “서해 5도의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4대강 예산을 대폭 삭감해 국방 예산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과 4대강 문제를 연계해 동력이 약화된 ‘4대강 예산투쟁’의 불씨를 살리겠다는 포석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준전시상황에 정부의 대북정책을 흔들려는 시도는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햇볕정책으로 더 강력해진 맹수의 발톱에 천안함의 장병들이 산화했고 연평도는 폐허가 됐다”고 역공했다. 특히 연평도 포격이 4대강 사업 때문이라는 박 원내대표의 발언을 겨냥해 “억지주장에 억장이 무너진다”며 “언제까지 민주당은 ‘당하지 않으려면 더 퍼줘야 한다’ ‘피 묻은 손과 악수부터 하라’는 식의 주장만 되풀이할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