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과 다른 길로 가나

  • Array
  • 입력 2011년 1월 13일 03시 00분


최근 ‘제2의 냉전’ 우려마저 낳을 만큼 갈등을 빚어온 미국과 중국.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19일 미국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하지만 전망은 엇갈린다.

1979년 미중 국교 정상화를 조율했던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고문은 6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이 32년 전 덩샤오핑(鄧小平)의 방미 이래 가장 중요한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11일 동아일보의 인터넷 방송뉴스 ‘동아 뉴스 스테이션’과의 전화 인터뷰에 응한 두 나라 외교소식통들은 “회담이 실질적 성과 없는 갈등 봉합용 쇼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양측이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과 6자회담 재개를 연계시키지 않는 데 공감대를 이룰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미국의 대표적 대북 강경파로 천안함 사태 이후 북한에 대한 군사대응(해상봉쇄) 조치까지 주장한 바 있는 랠프 코사 CSIS 태평양포럼 소장은 미국의 6자회담 전제조건의 미묘한 기류 변화를 시사했다. 코사 소장은 “한국은 북한의 ‘보복성전’ 위협에도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에 대응 군사훈련을 했다”면서 “깎였던 한국의 체면이 다시 살아난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사과는 남북대화 재개를 위한 문제이지, 6자회담과 직결된 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또 스인훙 중국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중국은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미국에 설득할 것이지만 오바마 행정부는 당장 합의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제 워싱턴은 (6자회담 재개를) 서울만큼 꺼리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성향의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패트릭 크로닌 아태안보프로그램 소장은 미국이 중시하는 6자회담 재개 조건은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태도 변화’라고 말했다. 오바마 행정부의 소식통인 크로닌 소장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해 구체적인 무엇인가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그러나 그는 “2년 후면 중국의 지도자가 바뀐다”면서 “두 정상이 실질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더라도 유효 기간은 2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두 나라 외교전문가들은 스티븐 보즈워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이른 시일 내 방북하거나 6자회담 북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뉴욕을 방문해 회담 재개의 물꼬를 트는 것이 ‘논리적인 다음 순서(logical next step)’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정안 기자 j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