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의료체계 10월까지 대수술한다

  • Array
  • 입력 2011년 5월 24일 03시 00분


육군 “병사 2명 늑장치료-군의관 지시 없이 처방 확인”
국방부 민간참여 TF 구성

군의 허술한 의료체계 실태를 지적한 동아일보 5월 13일자 A1면.
군의 허술한 의료체계 실태를 지적한 동아일보 5월 13일자 A1면.
지난해 8월 결핵성 뇌수막염 증세를 보였지만 군 병원에서 우울증 판정을 받고 치료 시기를 놓쳐 의식불명에 빠진 육군 21사단의 오모 병장(21)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 군의관들이 근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육군이 밝혔다.

▶본보 13일자 A1면 부모 가슴에 못…
A3면 체중 40kg 줄었는데 두달넘게…

육군 관계자는 23일 브리핑을 통해 “오 병장이 입대 이후 이상 증세로 여러 차례 대대 의무대와 연대 의무중대, 사단 의무대에서 정상적인 진료를 받았지만 오 병장 증세의 근본 원인을 발견하려는 군의관들의 노력이 다소 미흡했다”고 말했다. 오 병장은 지난해 속이 메스껍고 살이 급격히 빠져 여러 차례 군 병원을 찾았지만 중증 우울증 판정을 받고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다 지난해 말 의식불명에 빠졌다.

또 육군은 지난달 24일 충남 논산시 육군훈련소에서 패혈증 증세를 보였지만 늑장 치료로 숨진 노모 훈련병(23)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 당시 의무병(일병)이 군의관(중위)의 지시를 받지 않고 해열제를 처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육군은 노 훈련병이 사망한 직후 육군본부 감찰실장을 팀장으로 조사팀을 구성해 조사했다”고 말했다. 사망 전날인 지난달 23일 야간행군을 끝낸 뒤 복귀한 노 훈련병이 고열을 호소하며 의무대를 찾았지만 중대장과 소대장 등 간부들이 노 훈련병이 아픈 원인을 찾아내려는 노력을 게을리 했고, 노 훈련병이 다음 날 의무대를 찾았을 때 군의관도 안일하게 진료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육군은 두 사건 관련자의 징계 문제에 대해 “(군의관과 지휘관을 포함한) 부대 관계자들의 구체적인 책임 소재를 가리고 있으며 결과가 나오면 관련 규정에 따라 조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육군은 연대급과 사단급 부대의 의료체계 실태를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이번 주 안으로 후방지역 사단급 이하 부대의 의료 실태를 확인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방부도 이번 육군 병사의 의무사고와 관련해 이용걸 국방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관련 부처와 강대희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등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군의료체계보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26일부터 10월까지 운영하는 TF는 사단급 이하 부대의 진료체계 개편 및 지원인력 확충, 예방 중심의 환경 조성 방안 등을 다룰 예정이다.

김형기 국방부 보건복지관은 “군의료체계보강 TF는 예방 중심 의료문화를 정착시키고 부대의 병사관리 체계에서 후송까지의 진료기록 정보 유기적 공유, 국방의학원 설립 문제 등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윤상호 기자 ysh100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