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향하는 김광수 원장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연루된 혐의로 구속영장이 발부된 김광수 금융위원회 산하금융정보분석원장이 7일 오후 대검을 나서 차량에 오른 뒤 굳은 표정으로 눈을 감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김광수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이 부산저축은행그룹에서 명절 떡값 200만 원 등 모두 4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이 금융감독원 직원에 이어 금융위원회와 재무부를 오간 ‘모피아’(옛 재무부 출신 관료를 ‘마피아’에 빗댄 용어)까지 관리해 왔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셈이다.
서울중앙지법 김환수 영장전담부장판사는 7일 오전 10시 뇌물 및 알선수재 혐의를 받고 있는 김 원장에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열고 “범죄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며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김 원장은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 시절이었던 2009년 1월 설을 앞두고 부산저축은행그룹 대주주들에게서 200만 원을 받는 등 수 차례에 걸쳐 모두 2000만 원을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08년 9월에는 집(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앞에서 뭉칫돈으로 2000만 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김 원장이 이 돈을 받고 부산저축은행그룹이 대전, 전주저축은행을 잇달아 인수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보고 있다. 또 지난해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으로 있을 때 부산저축은행그룹이 퇴출당하지 않도록 금융위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원장은 “돈을 받은 적이 전혀 없고 대전, 전주저축은행 인수는 청와대에서 회의를 거쳐 결정한 것이어서 금융위에서 편의를 봐준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는 김양 부산저축은행그룹 부회장(58·구속 기소)의 측근인 브로커 윤여성 씨(56)가 10년 전부터 김 부회장을 알게 된 뒤 정관계 로비 창구 역할을 해온 것으로 보고 로비 대상자를 확인하고 있다. 또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인천 효성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할 때 경쟁 시행사로부터 사업권을 넘겨받는 과정에서 15억 원의 리베이트를 챙긴 혐의로 윤 씨를 구속 기소했다.
윤 씨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이 4700여억 원을 들여 추진한 효성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사업 인허가와 사업용지 매입 업무를 전담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윤 씨가 이 과정에서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50·구속) 등 정관계 인사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를 수시로 접촉하며 친분을 쌓고 부산저축은행의 퇴출 저지 및 사업 인허가 등을 청탁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불법대출 등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는 삼화저축은행이 발행한 후순위채권을 산 피해자 24명은 이날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과 국가, 금감원 등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