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3∼5위로 지도부에 입성한 나경원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
(왼쪽부터)이 투표 결과가 발표되자 아쉬운 표정을 짓고 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40대 후보들에게 한나라당 당권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4일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40대 트리오인 남경필 원희룡 나경원 의원은 어느 때보다 당권 고지에 가까이 접근하는 듯했으나 정상 등극엔 결국 실패했다. 그러나 이들의 입성으로 한나라당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40대로 채워져 한나라당 지도부가 갈수록 젊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번 지도부 5명 중 40대는 1명뿐이었다.
○ 50대 이상 당심(黨心)의 벽
홍준표 대표와 박빙의 승부를 펼칠 것으로 예상됐던 원희룡 최고위원은 ‘의외의’ 4위를 기록했다. 선거 기간 내내 ‘40대 당 대표’ ‘20, 30대 표심 공략’을 내세웠지만 홍 대표의 ‘박근혜 지킴이론’에 무릎을 꿇었다.
홍 대표를 지지했다는 한 50대 초선 의원은 “개혁도 좋지만 나보다 어린 40대가 당 대표를 하는 장면을 정서적으로 감내하기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원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자신의 진정성을 호소했지만 “원희룡이 대표 되면 내년 공천 탈락한다”는 위기감이 당내 중진들 사이에 퍼졌고, 50대 이상의 표심이 홍 대표에게 쏠렸다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로 이번 한나라당 전당대회 선거인단 21만2399명 중 50대 이상 장·노년층은 전체의 54.3%인 11만5473명이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유권자 중 50대 이상이 36.6%였던 것에 비해 한나라당 당심이 상대적으로 고령임을 알 수 있다.
나경원 최고위원은 압도적인 대중성을 무기로 지난해 전당대회에 이어 여성 몫이 아닌 자력으로 3위를 기록해 체면치레를 했다. 그러나 일반인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가 아니라 ‘정치 프로’인 대의원과 당원을 상대로 한 투표에서는 전체 7명 중 4위를 기록해 지난 1년간 ‘정치인 나경원’의 성장을 당내에서 인정받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당내 소장파와 일부 친박(친박근혜)계의 지원을 기대한 남경필 최고위원도 턱걸이로 지도부에 입성한 것에 만족해야 했다. 4·27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비주류인 황우여 의원을 원내대표로 만드는 데 기여한 남 최고위원은 선거 초반에는 내심 상위권 진입을 노렸으나 운동기간 내내 당내 보수층의 벽을 절감했다고 한다.
○ 그래도 지도부의 60%가 40대
그럼에도 이번 전당대회를 계기로 40대가 대거 지도부에 입성한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 재선 의원은 “40대 당 대표라는 전면적 변화보다는 40대 최고위원을 절반 이상 선택하는 점진적 혁신을 당원들이 바란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들 세 명의 정치적 관계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50대 홍 대표에게 맞선 ‘전략적 제휴’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대학과 사법시험 동기인 나-원 최고위원은 지난해 서울시장 당내 경선에 이어 1년 만에 이번 전대에서 리턴매치를 벌였는데 이번에도 나 최고위원이 이겼다. 남 최고위원은 원 최고위원을 ‘친이계 대리인’이라고 공개 비판하고 나서 서로 냉랭한 사이가 됐다. 이날 전대에서도 홍-원 최고위원은 선거 후 뜨겁게 포옹했으나 이들 3명은 다소 서먹서먹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