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개최? ‘한 나라 한 도시 개최’ IOC헌장 위배분산개최? 서울올림픽땐 IOC가 제안… 北 거부단일팀? 北 겨울스포츠 약해 전력 하향 우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11일 “평창 동계올림픽을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심각하고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이날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이 평화 올림픽이 돼 한반도가 동북아 평화에 직접 기여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자”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평창에 몰표가 나온 것은 평창이 내건 ‘새로운 지평’이라는 슬로건이 국제사회의 공감을 이뤄낸 것이지만 세 차례 도전을 통해 보여줬던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 부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남북 공동 개최는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성이 있을까. 평창의 2018년 겨울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촉발된 남북 공동 또는 분산 개최와 단일팀 구성 논란을 짚어본다.
○ 남북 공동 개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헌장에 ‘올림픽은 한 나라 한 도시에서만 연다’고 돼 있다. 다른 나라, 다른 도시와 공동 개최를 하려면 올림픽 유치에 버금가는 또 한 번의 동의를 IOC로부터 얻어야 한다.
평창 유치위는 모든 경기장을 30분 내에 이동할 수 있는 점을 내세워 IOC 실사단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 남북 공동 개최가 성사되면 이동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생긴다. 남과 북 사이에 휴전선과 비무장지대(DMZ)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국내외 관중이 자유롭게 왕래하기 어렵다는 것도 걸림돌이다.
공동 개최가 추진되다가도 정치 상황이 급변할 경우 대회를 코앞에 두고 파행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북한은 한국과는 별개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를 두고 있다. 즉 주최가 둘이 된다면 대회 진행이 쉽지 않고 이 때문에 IOC 입장에선 1988년 서울 올림픽 때처럼 난색을 표시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공동 개최 여부는 남북 간 신뢰 등 정치적 상황에 따라 차기 정부가 최종 결단을 내려 IOC의 동의를 얻어낼 수 있느냐 여부에 달려 있다.
○ 남북 분산 개최?
피치 못한 상황일 경우 올림픽이 다른 나라에서 열린 전례가 있긴 하다. 1956년 호주 멜버른 여름올림픽 당시 전염병이 번지자 승마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렸다.
분산 개최는 공동 개최에 비해선 그나마 실현 가능성이 보인다. 강원도에서 대부분 종목을 열고 일부를 북한에 나눠주는 방식이다.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평화를 명분으로 내세우면 IOC가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높다. 벌써부터 일부에선 “환경 훼손 논란이 있는 중봉 알파인스키 경기장 예정지를 금강산이나 개마고원 삼지연 스키장으로 옮기면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그러나 북한의 입장에선 공동 개최보다 받아들이기 힘든 게 분산 개최다. 북한은 서울 올림픽 때 IOC가 남북 공동 개최의 대안으로 분산 개최를 역제안하자 거부한 전례가 있다.
○ 남북 단일팀?
남북 단일팀이 구성된 건 1991년 포르투갈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과 일본 지바에서 열린 세계탁구선수권대회뿐이다. 종합 스포츠대회에선 단일팀이 만들어진 적은 없다.
북한은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 단일팀 구성 논의 때 남북이 같은 비율로 팀을 꾸리자고 주장했다. 종목과 선수 수는 물론이고 선발 출전 선수 규모까지 맞추자고 했다. 겨울스포츠가 취약한 북한은 이번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남북 공동 입장은 그나마 실현 가능한 방안이다. 남북 선수단은 2000년 시드니,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등 5번이나 한반도 깃발을 흔들며 함께 등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