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 진보진영 후보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내놓았던 인사들은 곽노현 교육감과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 사이의 돈 거래가 밝혀지자 “조건 없이 양보했는데 안타깝다”는 심경을 밝혔다.
이들은 30일 본보 기자와의 통화에서 “후보가 난립한 보수진영과 달리 단합을 통해 승리를 일궈냈다는 자부심으로 살았는데 그 긍지가 이제 물거품이 됐다”며 “사실관계가 명확해지면 받은 쪽이나 준 쪽이나 마땅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서울교육감 선거에 나섰던 진보진영 후보는 곽 교육감과 박 교수 외에 최홍이 서울시교육의원, 이부영 전 서울시교육위원, 이삼열 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최 씨와 이 씨는 당시 교육위원으로 진보성향 시민단체와 교육운동단체 등 100여 개 단체로 구성된 ‘민주·진보 서울시교육감시민추대위’가 주도하는 경선에 참여했다. 두 후보는 여론조사(50%) 범시민추대위 의견(20%) 시민공청단 투표(30%)를 합산한 결과에 승복하고 곽 후보를 단일후보로 추대했다.
이삼열 후보는 경선투표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후보 등록을 앞두고 사퇴함으로써 진보진영 후보 단일화에 협조했다.
최 의원은 “진보진영에 걸림돌이 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경선 결과에 깨끗이 승복했는데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참으로 안타깝다. 교육자들의 문제에는 도덕적으로 더욱 엄격한 잣대가 적용될 수밖에 없다”며 당사자들의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했다.
이 전 위원도 “선거 이후 당선자 측과 거리를 두고 지내왔던 터라 내막을 전혀 몰랐다. 유감이라는 말밖에는 할 말이 없다”며 “양측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인데 자리를 팔고 산 양측 모두 책임을 피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막판까지 사퇴를 고심했던 이삼열 사무총장은 “당시 단일화 방식을 두고 논란의 소지가 많았지만 진보 후보 당선을 위해 기꺼이 포기했다”며 “이런 부적절한 거래가 있을 줄은 몰랐다. 사실을 철저히 규명해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