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이청용 팬인 이유는 중졸이기 때문”

  • Array
  • 입력 2011년 9월 2일 14시 58분


이명박 대통령은 2일 "지금부터 의무적으로 고교 (취업) 비율을 상당히 올려줘야 한다"면서 "그래야 고교생이 나와서 전문인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기 수원시에 위치한 ㈜윌테크놀러지에서 제4차 공정사회 추진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말한 뒤 "제도적인 것을 우리 정부가 파격적으로 해보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이날 ㈜윌테크놀러지에서 공정사회 추진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 회사가 학력차별 없는 '열린 고용'을 실천하는 회사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이 회사는 직원 230명 중 고졸 출신이 절반에 육박하는 97명(42%)이며, 최근에도 고졸 출신 11명을 채용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고졸 출신이 세상을 사는데 불편한 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상고 출신이라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다"며 "어제 30대 그룹 총수들로부터 고졸 출신들을 뽑아 인재로 키우겠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좋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내가 운동선수 중에서 영국에 가서 축구를 잘하는 이청용 선수의 팬"이라며 "팬인 이유는 그 친구가 중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적으로 연봉 500만불, 1천만불 이상 받는 유명 선수들의 학력 평균이 중졸쯤 된다"면서 "공을 잘 차야 되는 것이지 프로축구 선수가 서울대 졸업, 이런 게 필요하나"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학력 인플레'에 대해 "과거에는 대학을 졸업해야 시집·장가도 가고, 요즘은 다들 애를 하나씩 정도밖에 안 낳으니, 자식 하나 있는 것을 대학에 보내야 하지 않나, 이런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학력보다는 능력이다. 시대가 그런 변화를 맞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독일의 대졸 비율이 30%대로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곳이다. 우리는 70~80%고 일본은 40~50%대"라며 "이제는 4년제 대학 졸업 비율이 낮은 나라일수록 선진국"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는 대학이 너무 많다"면서 "수능 성적이 300점이 넘어야 어느 대학 간다고 하지만 수능 100점만 받아도 지방의 어느 대학 골라서 간다. 그러니 우리나라는 '대학 인플레이션'"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학에서 애들 정말 잘 가르치는 것도 아니다. 대충 가르치는 곳도 있는데 대학 등록금은 너무 비싸다"면서 "우리는 지금 사회적으로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학력에 대한 전환기를 맞이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그 분야에서 얼마나 노력을 했느냐가 중요하다"면서 "일찍 기술을 배워 명장이 되는 게 낫지 서울대 공과대 나왔다고 명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