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나라당이 7일 감세 철회에 합의한 것은 한나라당의 내년 총선 고민과 이명박 대통령의 재정건전성 강화 의지가 맞물려 결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1년 전 여권 내 감세 철회 논쟁이 불거졌을 때만 해도 여권은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논쟁을 벌이며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 한나라당 지도부는 당내 친이(이명박)계의 ‘감세 관철’ 주장을 제압한 데 이어 청와대의 동의를 이끌어냈다.
한나라당은 이번 실무협의 과정에서 “지금 상태로는 각종 선거를 못 치른다”는 뜻을 청와대를 강하게 전달했다고 한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7일 기자들과 만나 “정치 현실을 감안한 일종의 절충”이라며 그간 유지해 온 궤도에서 벗어났다는 점을 인정했다.
다만 청와대는 이번 조치를 ‘감세 철회’라고 이름 붙이는 데는 동의하지 않았다. 임 실장은 이날 “감세 속도가 지금까지 (약속)해 오던 것보다 줄어든 것일 뿐 감세 기조는 유지된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일부 언론이 ‘감세 철회’라는 표현을 쓴 것을 보고 이 대통령은 ‘내용은 철회가 아닌데…’라고 생각하실 것”이라는 우회적인 표현으로 이 대통령의 속마음을 내비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