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협상 창구인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이종혁 부위원장(오른쪽)이 17∼20일 미국 조지아 주 애선스 시 조지아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모습. 동아일보DB
17∼20일 미국 조지아 주 애선스 시의 조지아대에서 열린 ‘한반도 문제 학술세미나’에서 북한 대표단이 남측 참석 인사였던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국회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장)과 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해 상당 시간 논쟁을 벌였다고 박 최고위원이 25일 전했다.
북한 대표단은 이종혁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 맹경일 조선아태평화위 실장, 차건일 군축평화연구소 소장 등이었다. 세미나 당시 북한 측 대표단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는 전혀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고 주장했던 것과는 배치된다.
양측의 논쟁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박한식 미 조지아대 국제관계학 석좌교수, 제임스 레이니 전 주한 미국대사, 프랭크 자누치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정책국장 등이 지켜봤다고 한다. 다음은 박 최고위원이 전한 북측 대표단과의 공방 내용.
▽박=천안함 사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발표(북한 공격)를 믿는다. 이 사건으로 취해진 5·24조치(남북 교류 중단)를 철회하려면 천안함에 대한 북측의 조치가 필요하다.
▽북측=우리는 천안함 사건에 개입하지 않았다. 그러니 책임도 없다. 남측 정부의 발표를 믿을 수 없다. 남북이 공동으로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
▽박=정부 발표는 미국 스웨덴 등과 함께 한 조사 결과다. 이를 믿지 않는다면 남북 공동조사를 해서 과학적 근거가 나오더라도 계속 무관하다고 주장할 것 아닌가.
▽북측=5·24조치로 우리보다 남측의 피해가 더 극심하다. (북한 내에 있는) 남측 기업들이 문을 닫고 있다.
▽박=5·24조치를 철회하려면 북측이 ‘천안함 사건 같은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하겠다’고 밝혀야 하지 않나.
▽북측=우리는 이미 유감 표명을 했다.(천안함 사건 발생 한 달 뒤인 지난해 4월 북한이 “우리는 (천안함 사건이) 있어서는 안 될 유감스러운 불상사로 간주해왔다”는 논평을 낸 것을 가리킨 것으로 보임)
▽박=그건 위로 차원일 뿐 북측의 책임을 전제로 한 게 아니지 않나.
▽이 부위원장=그렇다.
이와 함께 북측 대표단은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두 차례나 만나 남북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그러나 남측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정상회담을) 더 구걸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임 실장과 김 부장이 2009년 8월 김대중 전 대통령을 조문하기 위해 북측 대표단이 서울을 방문했을 때와 2009년 10월 싱가포르에서 남북 정상회담 논의를 위해 접촉한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북측이 이를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댓글 0